•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 Conserv. Sci > Volume 41(1); 2025 > Article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의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처리 -곽덕준 작가 작품이 수록된 기록⋅저장매체를 대상으로-

초 록

영상⋅음향의 시청각 기반 자료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록⋅저장매체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기록⋅저장매체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체 자체적인 물리⋅화학적 손상, 기술의 발전에 따른 구형화, 단명성과 같은 문제점이 점차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매체에 기록⋅저장되어 있는 영상⋅음향 자료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국내⋅외 많은 기관과 전문가들은 시청각 기반 자료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으로 다양한 보존 전략을 반영한 보존처리와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일반적인 시청각 기반 자료와 뉴미디어 작품은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방법 및 방안 적용 시에는 일부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처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의 장기적인 보존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Both digital and analog audio-visual materials, are stored on physical media. However, over time, these storage media are subject to various issues like physical and chemical deterioration, obsolescence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limited lifespans. These challenges inevitably affect the audio-visual contents they contain. In response, numerous institutions and experts worldwide have been implementing conservation treatments and digitiz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This issue also applies to audio–visual-based new media artworks. However, becaus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general audio–visual materials differ from those of new media artworks, different approaches are required when applying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digitization and conservation process of audio–visual-based new media artworks at South Korea's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proposes strategies for their long-term preservation and management.

1. 서 론

영상⋅음향의 기록물은 시청물로, 일반적으로 필름, 테이프 등과 같은 아날로그 기록매체와 광디스크(Compact Disc(이하 C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이하 DVD) 등), Floppy Disk, Flash Memory와 같은 디지털 기록⋅저장매체에 영상⋅음향 자료가 기록 및 저장되어 있다(NAK, 2007). 하지만 이런 기록⋅저장매체들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화학적 손상이 발생하며, 이는 매체에 기록⋅저장되어 있는 영상⋅음향 자료에도 영향(데이터 손실, 데이터 손상, 왜곡, 신호 열화 등)이 수반되어 나타난다. 그 뿐만 아니라, 최근 빠른 기술의 변화로 인한 기록⋅저장 매체별 재생 장비의 단종(영사기, 테이프⋅광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비), 응용 소프트웨어 기술 지원 중단(OS, HTML 등) 등과 같은 기술의 단명, 구형화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도 점차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Kim, 2014; NLK, 2021).
이에 국내⋅외 다양한 기관에서는 시청각기록물의 장기보존과 관리를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영국 국립기록보존소(TNA: The National Archives United Kingdom), 캐나다 국립도서관 및 기록보관소(LAC: Library and Archives Canada), 호주 국립기록원(NAA: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영국 디지털 보존 연합(DPC: Digital Preservation Coalition) 등 국외 각국의 기관에서는 시청각기록물의 중요성과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인지하면서 장기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각 기관에 맞는 다양한 정책과 전략(보존 범위, 장기보존 방식, 무결성 검증 방식, 보존 인프라 등)을 연구 및 제정하고 있고(Kim, 2014; So et al., 2018), 국내의 경우도 국가기록원,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영상자료원, 대통령기록관 등 각 기관에서 시청각기록물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상태점검과 보존처리를 진행, 더 나아가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아날로그 기록매체의 디지털화,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장기보존패키지 정립 등의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NLK, 2021; NAK, 2023a; NAK, 2023b; KFA, 2024). 그 예시로 국가기록원의 경우 2018년 필름에 기록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손기정 선수의 마라톤 경기 영상을(KTV, 2018), 2019년에는 Video home system(이하 VHS)에 기록된 우토로 마을 자료의 장기적 보존⋅관리를 위해 보존처리와 디지털화 및 디지털 복원을 실시하였다(NAK, 2019). 또한, 기록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생성, 관리, 보존, 활용을 위해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제2부: 시청각기록물」(NAK 22:2009(v.2.0)), 「기록물 디지털화 기준」(NAK 26:2023(v.2.1)) 등과 같은 공공표준 자료도 매번 재정 및 개정하고 있다(NAK, 2023a; NAK, 2023b).
1950년대에 영상⋅음향이 기록되는 매체가 작품에 도입되면서 뉴미디어 작가들은 영상⋅음향과 같은 시청각 기반의 작품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필름을 시작으로 테이프, 광디스크, 자기매체, 전자매체 등 다양한 기록⋅저장 매체에 작품이 기록 및 저장되었지만, 해당 매체들도 최근 매체의 손상이나 기술적 문제점(단명성, 구형화 등) 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외의 주요 미술관(Guggenheim Museum, Museum of Modern Ar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등)과 TBM(Time Base Media)보존 전문가들 또한,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의 장기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상태점검, 보존처리, 디지털화, 보존 정책 및 전략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 및 정립하고 있다(Engel and Philips, 2023).
하지만 예술적 의미를 지닌 미술 작품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 자료인 시청각기록물과는 지닌 가치와 의미가 다르다. 이에 따라 미술 작품이 기록⋅저장된 매체의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방안은 시청각기록물과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Heo and Han, 2013; NAK, 2024).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 구축을 위해 뉴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기록 매체의 관리 방법 연구, 뉴미디어 영상 작품 보존처리 기준 마련 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Kwon and Kwon, 2018; Myung et al., 2023), 앞서 소개한 다른 국내⋅외 기관보다는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연구가 부족하며, 동일한 방안을 적용하기에는 시청각기록물과 시청각 기반 작품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의미가 달라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의 적합한 보존⋅관리 방안 구축을 위해서 앞으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작품 중 아날로그 및 디지털 기록매체에 수록된 작품 2점에 대한 전반적인 디지털 변환, 보존⋅복원처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대한 디지털 변환 방법과 보존⋅복원 과정, 더 나아가 관리를 위한 디지털 마이그레이션 보존전략 적용 과정을 소개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적합한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위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2. 대상 작품

곽덕준(1937-)은 일본 태생의 작가로 평면, 입체, 사진, 비디오, 퍼포먼스 등 다양한 조형 영역을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진행하였다. 1960년대에는 어둡고 기묘한 생명체같은 이미지의 추상 작업을 했으며, 1970년대에 들어 개념 미술로 성격이 전환되어 단순한 사실의 제시나 오브제의 파악을 넘어 사물을 통해 허구성과 무의미함을 드러내고 있다.
보존처리 대상인 <VIDEO EVENT 831>(1983)와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1993)는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여 사회적, 정치적으로 이슈화된 유명 정치인 및 배우의 얼굴을 프로젝터로 영사하고 그 위에 풍선 등으로 해학적이고 일상적인 장면을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는 미디어가 제공하는 이미지들이 실질적으로 우리를 둘러싼 세계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을 재인식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에 드러난 이미지’와 ‘자신’의 관계는 환상에 불과하며 실체와는 상관 없이 오로지 미디어를 통해 이들을 인식하고 있는 우리의 일상적인 거짓을 폭로하고 있는 작품이다(MMCA, 2024a; MMCA, 2024b).
<VIDEO EVENT 831>는 VHS 1점, DVD 2점,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는 VHS 1점, CD 1점, DVD 1점의 매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중 DVD 1점(TDK Corporation)에는 해당 2점의 작품 영상 디지털 파일이 같이 수록 되어있었다(Table 1, Figure 1, 2).

3. 연구 배경

3.1. 비디오테이프

비디오테이프는 자기테이프로 1956년 Ampex에서 1inch Open-reel Tape 형태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2inch Open-reel Tape(1959), 1/2inch Open-reel Tape(1965), U-matic(1971년), Betamax(1975년), VHS(1976년), Betacam(1982년) 등 다양한 형태들이 개발되었다(Lee, 1979; Wheeler, 2002; KRISS, 2009).
자기테이프의 필름은 코팅층(Backcoat)-바탕층(Basefilm)-자기층(Magnetic lay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디오테이프 재생 및 녹화 장비(이하 VCR)의 Head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자기층의 강자성체(Fe, Co 등)가 자기감응반응을 통해 영상⋅음향이 기록되고 읽어진다(Table 2, Figure 3).
자기테이프는 13∼17℃, 35∼45% RH 보관 환경을 권장하고 있으며, 평균 10∼20년의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다(Jo et al., 2012; NAK, 2007). 또한, 대부분의 비디오테이프는 필름 중 바탕층과 자기층의 바인더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나 변형, 찢김 등 현상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비디오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음향 자료의 손실, 변형, 변색 등 손상이 발생한다(Lee, 1979; Wheeler, 2002; KRISS, 2009).

3.2. CD & DVD

CD와 DVD는 광디스크로 디지털 방식의 전자기록매체로 구분된다. CD는 1970년대 Philips와 Sony가 공동 개발하여 1982년에 출시되었고, DVD는 1995년 Philips, Sony, Toshiba, Panasonic 등의 회사들이 CD의 후속으로 공동 개발하여 1996년에 출시되었다(Kim, 1996; Peek, 2010).
CD와 DVD는 모두 지름 8 cm 또는 12 cm에 두께 1.2 mm이며, 일반적인 종류인 ROM(Read only memory)은 바탕층(Base substrate)–기록층(Recording layer)-반사층(Reflective layer)-보호층(Protective layer)-라벨층(Label layer)의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CD 및 DVD 중 R(Recordable) 종류는 염료층(Dye layer)이 RW(Rewritable)에는 상변화 기록층(Phase change recording layer)과 절연층(Dielectric layer)이 기록층(Recording layer)의 역할을 한다(Table 3, Figure 4)(Lee, 2013).
CD와 DVD의 차이는 구조를 이루는 Pit와 Land에 의해 발생한다. Pit는 기록층 표면의 작은 구멍을 Land는 Pit 사이의 평평한 부분을 의미하며, CD 및 DVD 재생 및 저장장비(이하 Optical drive)에 있는 레이저가 Pit와 Land에서 발생하는 반사 신호 차이를 이진 데이터(0과 1)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읽는다(Figure 5). 일반적으로 DVD는 CD보다 더 높은 밀도의 Pit와 Land 구조로 되어 있어 더 짧은 파장의 레이저(CD: 780 nm / DVD: 650 nm)를 사용해서 Pit와 Land를 읽고 쓰며, 이에 따라 고용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CD: 700 MB / DVD: 4.7 GB). 또한, CD는 데이터 저장이 대부분 한 면 단층의 기록층에 이루어져 있지만, DVD는 데이터 저장이 한 면 다층의 기록층 또는 양면층을 이루고 있어 DVD가 CD보다 더 많은 데이터 저장이 이루어진다(Figure 6)(Lee, 2002; Lee, 2013).
CD 및 DVD는 13∼17℃, 35∼45% RH 보관 환경을 권장하고 있으며, 평균 30년의 기대수명(일부 연구에서는 평균 4∼9년으로 설정)을 가지고 있다(NAK, 2007; Jo et al., 2012). 또한, 대부분의 CD 및 DVD와 같은 광디스크는 반사층 금속 물질의 산화, 가수분해로 인한 각 층 구성 물질 열화, 빛으로 인한 염료층 손상, 물리적 변형(오염물, 균열 등)에 의한 기록층 손상 등의 유형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Lee, 2013).

3.3. 디지털화

디지털화는 스캐닝(비전자 기록물을 이미지 형태로 컴퓨터에 입력하여 디지털화하는 것) 또는 인코딩(비전자 영상 및 음성 기록물을 컴퓨터로 입력하여 디지털화하는 것) 등의 작업을 통해 비전자 기록물을 디지털 형태로 촬영 또는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 실체가 있는 기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성의 열화가 발생하기에 기록물의 손실 및 소실을 방지하고 수록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해 진행한다(NAK, 2023a).
디지털화의 기준 및 과정은 전자 기록의 장기 보존을 위한 개념적 기능 틀을 제시하고 있는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모형(ISO 14721:2012)을 참조하고 있으며(Figure 7), 해당 모형을 참고해 각 국가 및 기관별 적합한 디지털화 전략, 범위 등을 설정하고 있다 (Kim, 2003; So et al., 2018).
또한, 「기록물 디지털화 기준」(NAK 26:2023(v.2.1))에 의거 디지털화 과정 중 설정되는 미디어 스펙(포맷, 코텍, 비트심도 등)은 기록물의 종류(종이, 사진, 필름, 영상 등) 및 용도(보존본⋅활용본)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Table 4)(NAK, 2023a).

3.4. 메타데이터

데이터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정보 자원(Information resources, Item, Object)을 의미한다. 이 중 메타데이터는 ‘정보 자원에 대한 데이터’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로 정의되고 있다(KISTI, 2015). 메타데이터 안에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기본정보(식별 정보), 특성 정보(포맷, 크기, 길이 등 물리적 요소), 외형 및 내용 묘사 데이터, 검색 정보, 저장과 색인 등 다양한 관리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Figure 8)(Ahn, 1998).
디지털 자원의 경우 가변성이 크며,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의 노화 속도 즉, 단명성이 빠르므로 장기 보존에 있어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디지털 자원에 대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운영⋅관리⋅보존을 위해서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확보 및 보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Ahn, 1998; Hong, 2004; NLK, 2021).
메타데이터는 활용 용도에 따라 크게 기술 메타데이터(Technical metadata), 설명 메타데이터(Descriptive metadata), 관리 메타데이터(Access or rights metadata), 보존 메타데이터(Preservation metadata)로 구분된다(Table 5).

4.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처리

시청각기록물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 자료로 기록물의 훼손 또는 소멸에 대비하여 정보의 소실을 방지하고 기록물에 수록된 정보를 보호해 기록문화유산으로 후대에 전승하는 것을 목표로 보존처리와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NAK, 2023b; NAK, 2024).
하지만 미술 작품들의 경우 예술적 가치 및 창작적인 목적을 가졌기에 보존처리 시 작품이 가진 개념에 따른 미학⋅예술적 요인, 진정성, 역사성, 기능성 등 다양한 사항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즉, 현대 미술 작품의 보존 처리에서는 작품에 있어서 ‘작품이 표현된 의도’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Heo and Han, 2013; Kim et al., 2021). 이는 시청각 기반 작품 역시 포함된다.
또한, 아날로그 방식의 기록⋅저장매체에 저장된 작품은 해당 매체 자체의 물리⋅화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록 및 저장된 영상⋅음향 자료의 손실 등을 방지하고 기술의 단명성과 구형화를 대비하기 위해 보존처리 외에도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디지털화를 진행해야 한다. 그 외에도 작품이 기록되고 저장된 매체가 다르더라도 각 기록⋅저장매체가 하나의 작품 구성 요소로 간주 될 수 있는 점(Wharton and Mack, 2012), 디지털화 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메타데이터를 확보하여 관련 정보를 일관되게 기록 및 정리해야 한다는 점(Engel and Philips, 2023)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선 내용들을 고려해 해당 작품에 대한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처리를 진행하였다.

4.1. 상태조사

해당 작품들 2건 5점의 기록⋅저장매체(VHS 2점, CD 1점, DVD 2점)는 모두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확인되었다. 2점의 VHS에는 각각의 영상 작품이 녹화되어 있었고, VCR(LC-53S, LG, KOR)로 재생시켰을 때 모두 정상 작동하였다. CD 및 DVD를 대상으로 수록된 디지털 파일들을 확인하기 위해 Optical drive(NEXT 200DVD-RW, EZ-NET, KOR)를 Microsoft Windows 10 운영체제 기반 컴퓨터에 연결 후 명령 프롬프트(.cmd)를 사용해 File-tree를 실시한 결과, <VIDEO EVENT 831> 작품이 수록된 SKC Co., Ltd 제조 DVD(이하 DVD Ⓐ)에는 NM-05167 VIDEO EVENT 831.VOB 디지털 파일이, Memorex Corporation 제조 CD(이하 CD Ⓐ)에는 NM-05169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VOB 디지털 파일이 수록 되어있었다. 또한, 2점의 작품 영상 디지털 파일이 같이 수록되어 있는 TDK Corporation 제조 DVD(이하 DVD Ⓑ)에는 VIDEO_TS.BUP, VIDEO_TS.IFO, VIDEO_TS.VOB, VTS_01_0.BUP, VTS_01_0.IFO, VTS_01_1.VOB, VTS_01_2.VOB 디지털 파일 확인되었고, 이 중 *.VOB은 영상을 구성하는 역할(영상 및 음향), *.IFO는 VCR 작동 시 .VOB 디지털 파일을 보조하는 역할(챕터 이동, 자막 등), *.BUP는 .IFO 파일의 백업 관련 디지털 파일로 추정되었다(Figure 9).
2점의 VHS에는 각각의 작품 영상⋅음향이 모두 녹화 되어 있었다. <VIDEO EVENT 831> 작품이 녹화된 VHS는 영상⋅음향 재생 시간이 16분 27초 20프레임(00:16:27:20)이었으며,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작품이 수록된 VHS는 3분 3초 0프레임(00:03:03:00)이었다.
CD 및 DVD에 수록되어 있는 각각의 작품 디지털 파일에는 영상⋅음향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였다. <VIDEO EVENT 831> 작품이 수록된 DVD 2매의 수록 영상 디지털 파일을 비교한 결과, 파일명은 다르지만(DVD Ⓐ: NM-05167 VIDEO EVENT 831.VOB / DVD Ⓑ: VTS_01_1.VOB) 동일한 메타데이터(용량, 재생 시간, 포맷, 코텍 등)와 무결성 체크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작품이 수록된 CD, DVD도 파일명은 다르지만(CD Ⓐ: NM-05169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VOB / DVD Ⓑ: VTS_01_2.VOB) 동일한 메타데이터와 무결성 체크값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각 작품별 CD 및 DVD 안에는 파일명은 다르지만 동일한 데이터와 미디어 스펙을 가진 해당 작품 디지털 파일이 수록 되어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D 및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을 VHS에 녹화된 영상과 비교했을 때, 2점의 VHS 모두 녹화된 영상 시작 전 및 영상이 끝난 후 일정 재생 시간 동안의 블랙 스크린이 확인되었다. <VIDEO EVENT 831> 디지털 파일의 경우 후반부 영상⋅음향 데이터 일부가 소실된 것으로 판단되었고,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는 해당 작품 영상이 후반부(00:03:05:00-00:05:43:07)에 나타났으며, 전반부(00:00:00:00-00:03:04:29)에는 소실된 <VIDEO EVENT 831> 작품 영상이 수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경우 해당 작품 영상이 끝난 뒤 영상⋅음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No data 영역(00:05:43:08-02:18:49:12)이 저장되어 있었다(Figure 10).
또한, 두 작품 모두 VHS에 녹화된 화면이 디지털 파일에 비해 상⋅하에서는 화면 일부가 손실되고 손실된 부분에 검은 띠인 레터박스가 확인되었으며, 좌⋅우로는 화면 비율이 넓어진 형태로 관찰되었다. 동일 화면 부분을 영상 편집 프로그램(DaVinci Resolve 18, Blackmagic Design, AUS)에 설치된 계측 그래프로 비교했을 때 Waveform에 서는 L(Luminace) 값이 낮게, Vectorscope에서는 원 외곽으로 확산한 모양을 띠었으며, 이를 통해 VHS에 녹화된 영상이 디지털 파일에 비해 전체적으로 밝기값은 낮고, 채도값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6).

4.2. 기록⋅저장매체 건식 세척, VHS 디지털화 및 보존처리

VHS, CD, DVD 표면의 먼지 및 이물질의 경우 부드러운 붓 또는 천을 사용하여 표면을 건식 세척하였다. 특히, CD와 DVD의 경우는 기록층 표면에 긁힌 자국이 생기면 수록된 디지털 파일에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에 건식 세척 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표면에 긁힌 자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진행하였다.
VHS의 경우는 테이프 자기층에 있는 강자성체의 자기감응반응을 통해 영상⋅음향이 기록 및 읽어진다. 하지만 VHS의 테이프는 평균 10∼20년의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테이프의 물리⋅화학적 손상이 발생하거나 외부 환경의 자기장에 의한 자기감응반응이 일어날 시 기록된 영상⋅음향 데이터의 손실, 변형, 변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VHS는 영상⋅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기록하기에 손상이 발생한 영상⋅음향 데이터는 복원이 매우 까다롭고 어렵다. 또한, VHS를 재생시키는 VCR의 경우 기술의 구형화로 인한 단종으로 점차 제품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VHS에 녹화된 영상⋅음향 데이터의 안정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VCR을 디지털 변환용 장비(IMAC Pro, Apple, USA)에 연결하고 영상 녹화 프로그램(Open Broadcaster Software)을 통해 디지털화하였다(Figure 11a).
VHS는 국가별 방송 송출 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표준 조건(프레임 레이트, 주사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Oh and Lee, 1998). 본 작품의 작가가 일본 태생과 국내 활동을 한 점, CD 및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확인했을 때 해당 메타데이터들이 방송 송출 방식 중 NTSC 방식의 특징인 점을 고려해 NTSC 방식인 29.97 프레임, Interlace 주사방식에 최대한 무손실⋅무압축에 가까운 변환을 위한 미디어 스펙을 설정하여 디지털화하였다(Table 7).
디지털화 후 상태 확인 결과, 변환 과정에 사용된 VCR 장비 자체에서 발생한 문구가 영상 상단부 우측에서 확인되었다. 해당 문구는 VHS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며, 방치 시 잘못된 정보를 보존 및 전달 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영상 편집 장비(MAC Pro Rack, Apple, USA)에 설치된 영상 편집 프로그램(DaVinci Resolve 18, Blackmagic Design, AUS) 중 Patch Replacer, Dead Pixel Fixer 등과 같은 편집 도구를 사용해 제거하였다(Figure 11b, c).
또한, 앞서 진행한 상태조사에서 VHS에 녹화된 화면이 디지털 파일에 비해 영상 시작 전 및 영상이 끝난 후 일정 재생시간 동안의 블랙 스크린이 확인되었고, 상⋅하에서는 화면 손실 및 검은색 레터박스가 나타났으며, 좌⋅우로는 화면 비율이 넓어진 형태에 전체적인 영상 밝기값은 낮고, 채도값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해당 작품들의 원본 매체가 확인되지 않아 VHS 영상과 비교 할 수 없다는 부분과 VHS에 녹화된 영상의 자체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별도의 화면 조정과 밝기, 색 보정 과정은 진행하지 않았다.

4.3. CD, DVD 수록 디지털 파일 복원

VHS에 녹화된 영상과 CD 및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을 비교했을 때 <VIDEO EVENT 831> 디지털 파일의 경우 후반부 영상⋅음향 데이터 일부가 소실,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전반부에는 소실된 <VIDEO EVENT 831> 영상⋅음향 데이터가 있고 해당 작품 영상⋅음향 데이터가 후반부에 위치하되 작품 영상이 끝난 뒤 영상⋅음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No data 영역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우는 추후 잘못된 작품 보존 및 전달, 전시 시 관람객에게 잘못된 작품의 의미가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소실된 부분은 복원하되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해 주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소실된 <VIDEO EVENT 831> 후반부 영상⋅음향 데이터의 경우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영상 디지털 파일 전반부(00:00:00:00-00:03:04:29)에 있는 것이 확인되어 영상 편집 장비(MAC Pro Rack, Apple, USA)에 설치된 영상 편집 프로그램(DaVinci Resolve 18, Blackmagic Design, AUS)의 Blade tool을 통해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전반부에 있는 <VIDEO EVENT 831> 영상⋅음향 데이터를 추출한 후 기존 <VIDEO EVENT 831> 디지털 파일 후반부에 Transition으로 결합해 영상⋅음향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은 디지털 파일을 제작하였다. 또한, 결합 후에는 VHS를 디지털화한 파일과 영상⋅음향 재생 시간을 1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 영상⋅음향 시작과 끝부분까지 서로 동일한 재생 시간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Table 8, Figure 12).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의 경우는 해당 작품 영상⋅음향 데이터를 제외한 <VIDEO EVENT 831> 영상⋅음향 데이터와 No data 영역을 영상 편집 프로그램의 Blade tool을 이용해 분리한 뒤 제거해 해당 작품 영상⋅음향 데이터만 존재하는 디지털 파일을 제작하였다(Table 8, Figure 13).

4.4. 디지털 마이그레이션 및 보관 케이스 교체

마이그레이션이란 ‘기존의 매체를 현재 구동 가능한 것으로 업그레이드시켜 외형이나 느낌의 변화를 수용’하는 뉴미디어 보존전략 중 하나로 기록물에서는 ‘시스템과 기록매체가 유실되거나, 노후될 수 있는 상황에서 기록물의 지속적인 접근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록물을 하나의 시스템 또는 저장매체로부터 다른 것으로 이전하는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있다(Bae and Han, 2018; Kwon et al., 2009).
아날로그 방식의 기록⋅저장매체는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해서 디지털화를 진행해야 한다. 디지털화 시에는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 및 디지털화한 자료의 사용 목적을 고려해야 하고, 이에 적합한 미디어 스펙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기록⋅저장매체는 기대수명이 존재하기에 일부 기록⋅저장매체는 장기 보존이 가능한 저장매체로 이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당 작품의 장기적인 보존⋅관리와 활용을 위해 디지털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디지털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디지털 변환의 전반적인 과정과 생성 결과물의 종류 및 설정하는 미디어 스펙(포맷, 코텍, 비트심도 등)의 경우는 ISO 14721 OAIS 참조모형의 패키징 정보, 「Conservation of time based media art」에서 권장하는 디지털화 유형 및 방법,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에서 정리한 ‘도서관 자료의 보존 및 보존처리 관한 원칙’ 자료, 국가기록원, 국립중앙도서관, NARA, NAA, TNA 등 국내⋅외 기관 지침서 및 정책(Kim, 2013; Kim, 2014; Kwon and Kwon, 2018; NLK, 2021; Engel and Philips, 2023; Myung et al., 2023)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VHS 디지털화 파일은 무손실⋅무압축의 원본, 원본 매체와 동일하지만, 기술의 발전을 대비해 일부 미디어 스펙(포맷, 코텍, 색 공간, 비트심도 등)을 변경 및 확대한 보존본, 다양한 장치와 소프트웨어에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한, 즉 호환성과 범용성이 우수한 무손실⋅압축의 활용본 총 3가지 종류의 디지털 변환 파일을 제작하였고, 변환된 디지털 파일들은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메타데이터와 무결성 체크값을 추출해 정리하였다.
CD 및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의 경우는 수록 디지털 파일 자체의 가치성을 고려해 해당 디지털 파일을 원본으로 정리하였으며, 그 외 디지털 복원이 된 디지털 파일들을 대상으로 VHS 디지털화 파일과 동일한 미디어 스펙을 적용하여 보존본과 활용본을 제작하였고 메타데이터와 무결성 체크값을 추출해 정리하였다(Table 9, Figure 14, 15a, b).
또한, 기술 발달에 따른 저장매체 기술의 구형화를 대비하기 위해 해당 디지털 파일과 정리한 메타데이터 및 무결성체크값은 저장매체의 기대수명과 보관 환경을 고려해 HDD 저장매체(STKY1000400, Segate, USA)에 저장하였으며, 기존의 VHS 및 CD, DVD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위해 물리적 강도가 높고 빛 투과율이 낮은 검은색 플라스틱 케이스로 보관함을 교체하였다(Figure 14, 15c).

5. 고찰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곽덕준의 <VIDEO EVENT 831>,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작품을 대상으로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 처리 과정을 살펴보았다.
상태조사 결과, 해당 영상⋅음향 작품들이 수록된 기록⋅저장매체(VHS, CD, DVD)에서는 물리⋅화학적 손상이 확인되지 않아 모두 정상 작동하였으나, 두 작품 모두 CD, DVD에 있는 디지털 파일과 VHS에 녹화된 영상이 다른 특징(레터박스, 화면 비율, 밝기 및 채도값)이 확인되었다. 또한, CD,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에서는 <VIDEO EVENT 831> 후반부 일부 데이터가 손실되었고, 해당 손실된 데이터 부분은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에 위치하며, <프로젝트에 의한 퍼포먼스> 후반부에는 영상⋅음향 데이터가 없는 No data 영역이 존재하였다.
VHS의 경우 아날로그 기록매체로 추후 영상⋅음향이 기록된 테이프가 손상되면 영상⋅음향 데이터가 훼손될 수 있다. 또한, VHS를 재생 및 녹화시키는 VCR 경우 기술의 구형화로 단종되어 재고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대비하고자 VHS에 녹화된 영상⋅음향은 VHS의 특징(방송 송출 조건)과 미디어 스펙(포맷, 코텍, 색 공간 등)을 고려해 최대한 무손실 형태로 디지털화하였다. VHS에서 녹화된 영상의 경우 CD,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에 비해 다른 특징이 관찰되었으나, 작품들의 원본 매체가 확인되지 않아 VHS와 비교 할 수 없다는 부분, VHS에 녹화된 영상 자체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디지털화 당시 VCR로 인해 생긴 문구 제거 외 추가적인 보존처리는 진행하지 않았다.
CD, DVD에 수록된 디지털 파일의 경우는 손실된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가 확인되었다. 이에 추후 작품의 안정적 보존 및 전달, 원활한 작품의 전시를 위해 손실된 부분 데이터는 복원시켜 주었으며, 불필요한 부분이라고 판단되는 데이터는 제거해 주는 보존⋅복원처리를 진행하였다.
디지털 변환 및 보존⋅복원처리가 완료된 디지털 파일들은 장기 보존 또는 전시 등 적용 용도를 고려해 적합한 미디어 스펙(포맷, 코텍, 색 공간 등)을 설정하여 용도별(보존본, 활용본)로 디지털 변환 파일을 제작하였고 장기보존 및 관리가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VHS에서 녹화된 영상⋅음향 및 CD와 DVD에 수록된 원본의 디지털 파일도 자체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각 작품의 원본 디지털 파일도 장기보존이 가능한 저장매체로 변경해 주었다.
영상⋅음향과 같은 시청각 기반 자료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록⋅저장매체 자료가 기록⋅저장되어 있다. 지만 아날로그와 디지털 기록⋅저장매체는 모두 일정 작 동 수명(기대수명)이 존재한다. 또한, 매체에 물리⋅화학적 손상이 발생하면 기록 및 수록된 영상⋅음향 자료에도 손상이 발생하고, 빠른 기술의 변화로 인한 재생 기술의 단종, 구형화로 인한 기술 지원 중단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점차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시청각기록물 및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다양한 기관 및 연합에서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인 보존⋅관리 위해 다양한 보존 처리 방법, 보존 정책과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영상⋅음향과 같은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국외 미술관과 전문가들 또한,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청각기록물 관련 연구를 참고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예술적 의미를 지닌 미술 작품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 자료인 시청각기록물과는 지닌 가치와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보존처리, 디지털 변환, 디지털 마이그레이션 등 장기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방안 적용 시에는 시청각기록물과는 전체적으로 유사하지만 일부 다른 방향으로 접근이 필요하다. 해당 연구 사례처럼 보존⋅복원처리 기준, 디지털화 시 적용하는 미디어 스펙, 제작하는 디지털화 파일 종류 등 일정 과정에 있어서 그에 맞는 가치 및 의미에 적합한 선택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 안에서도 작품별로 다양한 기록⋅저장 매체와 미디어 스펙을 가지며, 작가의 표현 의도가 다르기에 같은 방식의 접근보다는 상황 및 조건에 따른 다른 방식으로 접근도 역시 필요하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음향과 같은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대한 디지털 변환, 보존⋅복원 처리, 디지털 마이그레이션 등 전반적인 보존 및 관리 과정을 소개하였다. 이번 연구에 진행한 기록⋅저장매체가 일부 매체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미술 작품이라는 범위 안에서 해당 분야에 관한 연구가 기록물에 비해 부족하여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 보존 및 관리 절차와 과정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 보다 다양한 기록⋅저장매체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시청각 기반 뉴미디어 작품에 대한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위한 자료를 구축할 계획이다.

Figure 1.
Record and storage media subject to conservation treatment. (left) <VIDEO EVENT 831>. (right) <Performance Art Works with Video Projection>.
JCS-2025-41-1-08f1.jpg
Figure 2.
Digital video file stored on DVD(TDK Corporation).
JCS-2025-41-1-08f2.jpg
Figure 3.
Structure of magnetic tape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recording.
JCS-2025-41-1-08f3.jpg
Figure 4.
Structure of CD and DVD.
JCS-2025-41-1-08f4.jpg
Figure 5.
Principle of optical disc reading data.
JCS-2025-41-1-08f5.jpg
Figure 6.
Structural differences of CD and DVD.
JCS-2025-41-1-08f6.jpg
Figure 7.
Reference model for an OAIS(ISO 14721:2012).
JCS-2025-41-1-08f7.jpg
Figure 8.
Metadata.
JCS-2025-41-1-08f8.jpg
Figure 9.
Digital files stored on CD and DVD.
JCS-2025-41-1-08f9.jpg
Figure 10.
Running time of video and audio by record and storage media for conservation processing.
JCS-2025-41-1-08f10.jpg
Figure 11.
Digital conversion and conservation process for VHS. (A) Digital conversion. (B) Delete overlay text. (C) Delete overlay text before and after.
JCS-2025-41-1-08f11.jpg
Figure 12.
Before and after video editing of the <VIDEO EVENT 831>.
JCS-2025-41-1-08f12.jpg
Figure 13.
Before and after video editing of the <Performance Art Works with Video Projection>.
JCS-2025-41-1-08f13.jpg
Figure 14.
Digital migration process.
JCS-2025-41-1-08f14.jpg
Figure 15.
Digital conversion and case replacement process. (A) Digital conversion. (B) Integrity check value extraction. (C) Storage case replacement.
JCS-2025-41-1-08f15.jpg
Table 1.
Information related to record and storage media subject to conservation treatment
Components Manufacturer Model and specifications QTY
VHS - HG20 2
CD Memorex Corporation Recordable 52×700 MB / 80 min 1
DVD TDK Corporation Recordable 4.7 GB / 120 min 1
SKC Co., Ltd Recordable 16×4.7 GB 1
Table 2.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gnetic tape structural layers
Type Component Role
Magnetic layer Manetic particle : Fe, Cr, Co, Ti, Cu Recording data
Binder : Polyester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Basefilm Polyester polyuretha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Supporting magnetic tape
Backcoat Polyester polyurethane, Silica, Carbon black Electrostatic prevention, Friction resistance
Table 3.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D and DVD structural layers (Lee, 1997; Ono, 2012)
Type Component Role
Protective layer SiO2, GeO2, Al2O3, BeO2, BN, SI3N4, AlN, SiC, ZnS, ZnSe Protecting recording and reflective layers
Reflective layer Ag, Al, Au, Reflecting the laser to read the data
Dielectric layer ZnS-SiO, Al2O3, Si3N4 Protect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hase change material layer Ge-Sb-Te Alloy Performing the role of thermal control to record data
Dye layer Cyanine dye, AZO dye, Oxolife dye, TDK ISOPURE dye, RiTek G-Platinum Organic dye, RICOH Advanced SD dye Recording data discolored by laser
Recording layer ZnS-SiO2 Recording data
Base substrate Polycarbonate Supporting CD or DVD
Table 4.
Preferred conservation formats of institutions in four countries (Han et al., 2020)
Type Agency Preservation format
Electronic documents NARA (USA) TXT, DOC(X), PDF/A-1/-2, ODT, PPT(X), XLS(X) etc.
SFA (Switzerland) TXT, PDF/A-1/-2, DOC, XML etc.
LAC (Canada) TXT, EPUB, ODF, PDF/A-1, PDF/A-2, ODP(X), PDF DOC(X) etc.
NAA (Australia) ODT, TXT, PDF/A-1/-2, DOC(X), ODP, PPT(X), XSL(X) etc.
Audio-Visual records NARA (USA) TIFF, PNG, GIF, FLAC, MP3, WAVE, AVI, WMV, JP2, MPEG-2/-4 etc.
SFA (Switzerland) TIFF, JPEG-2000, WAVE, MPEG-4, FFV1 etc.
LAC (Canada) TIFF, PNG, GIF, BWF, WAV, AAC, JPEG, AVI, WMV, MOV, MPEG-2/-4 etc.
NAA (Australia) PDF/A-1/-2, PNG, GIF, JPEG, TIFF, BWF, FLAC, MPEG-1/-2/-4, WAV etc.
Table 5.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tadata (KISTI, 2015)
Type Characteristics
Technical metadata Metadata to captur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data
Descriptive metadata Metadata to describe the corresponding data
Access or rights metadata Metadata to include access and usag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data
Preservation metadata Metadata to ensure the sustained access and utiliz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Table 6.
Video scope and video sizes by record and storage media for conservation processing
JCS-2025-41-1-08i1.jpg
Table 7.
Digital recording conditions for VHS
Format Video codec Audio codec Frames Scan method Color space
.MOV Apple RroPres 4444 PCM 29.97 Interlace Rec.2020
Table 8.
Running time before and after digital file restoration treatment
Works Before After
<VIDEO EVENT 831> 00:00:00:00 – 00:12:57:00 00:00:00:00 – 00:16:01:22
<Performance Art Works with Video Projection> 00:00:00:00 – 02:18:49:23 00:00:00:00 – 00:02:38:16
Table 9.
The media specifications converted for digital migration
Extracted data from VHS
Purpose Format Video codec Audio codec Frames Scan method Color space
Preservation .MOV Apple RroPres 4444 PCM 29.97 Interlace Rec.2020
Original .AVI Umcompressed 4:2:2 10-bit(v210) PCM 29.97 Interlace Bypass
Access .MOV Apple RroPres 422 AAC 29.97 Interlace Rec.709
Access .MP4 MPEG4 AVC/H.264(h264) AAC 29.97 Interlace Rec.709
Extracted data from CD and DVD
Purpose Format Video codec Audio codec Frames Scan method Color space
Preservation .MOV Apple RroPres 4444 PCM 29.97 Interlace Rec.2020
Original Digital data contained in CD and DVD(not converted)
Access .MOV Apple RroPres 422 AAC 29.97 Interlace Rec.709
Access .MP4 MPEG4 AVC/H.264(h264) AAC 29.97 Interlace Rec.709

REFERENCES

Ahn, G.S., 1998, Means for identifying and accessing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Database world, 9, 63–69. (in Korean)

Bae, S.B. and Han, K.S., 2018,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 -Focusing on collections of domestic museums-. Journal of Korea Science & Art Forum, 33, 137–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crossref
Engel, D. and Philips, J., 2023, Conservation of time-based media art, Routledge, 1–554.

Han, J.H., Oh, H.J. and Yang, D.M., 2020,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eservation Format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1), 69–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eo, B.R. and Han, K.S., 2013, A study on plan of the conservation in contemporary art: revised decisionmaking model.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14, 505–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crossref
Hong, J.H., 2004, A study on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175–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Jo, Y.H., Kim, Y.J. and Kim, Y.J.,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chives acts and standards related to recording media of electronic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7–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FA(Korea Film Archive), 2024, Digital Restoration. https://www.koreafilm.or.kr/collection/CI_00000003 (December 9, 2024)

Kim, H.J., 2003, Research trends in digital archiving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3(1), 23–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im, J.Y., 1996, Trend in Digital Video Disk. 1996 KMS Conferencce, 8(2), 7–8. (in Korean)

Kim, S.G., 2013,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s of audiovisual archiving at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digital age. Conservation of The archives, 6, 41–63. (in Korean)

Kim, S.G., 2014, The long term preservation of audiovisual records cannot rely solely on technology. Conservation of The Archives, 7, 53–64. (in Korean)

Kim, Y.M., Han, Y.B., Shin, J.A., Cha, S.M. and Kwon, H.H., 2021,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bark of wooden sculptur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7(5), 516–5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crossref pdf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5, Metadata Standards Guide for Scientific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1–95. (in Korean)

KRISS(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2009, Development of life expectancy estimation method and its evaluation techniques of magnetic media, 16–47. (in Korean)

KTV(Korea TV), 2018, 82nd Anniversary of Kee Chung Sohn Marathon Victory … His Appearance Right After the Win Restored. https://m.ktv.go.kr/program/again/view?program_id=PG2170043D&content_id=558730 (February 25, 2025)

Kwon, D.Y., Kim, H.S. and Oh, S.G., 2009, A study on migration strategy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won, I.C. and Kwon, H.H., 2018, A study on management method of multimedia devices and recording media for conserving new media art. Journal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4, 85–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C.Y., 2002, A study on the specifications of optical storage devices and media for preserving large-scale electronic records. Archives, 15, 115–130. (in Korean)

Lee, G.C., 1979,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magnetic tap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6(1), 44–51. (in Korean)

Lee, J.A., 2013, Management plan research to improve optical recording material preserv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1–41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T.Y., 1997, The effects of substrate bias voltage for the formation of (ZnS)1-x-(SiO2)x protective films in phase change optical disk.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1–73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24a, 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Page.do (December 9, 2024)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24b,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24b, 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Page.do (December 9, 2024)

Myung, N.H., Lee, U.C., Jung, D.Y., Bae, G.M. and Kwon, I.C., 2023,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ew media video works conservation standards. Conservation of Art, 9, 4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NAK(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Practical Manual for the Management of Audiovisual Records, 1–32. (in Korean)

NAK(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9, Restoration Process of Audiovisual Records of Utoro Village. https://theme.archives.go.kr/next/archivesOn/archivesOnView.do?vid=000254 (February 25, 2025)

NAK(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3a, Standard for Digitization of Records Version 2.1, 1–31. (in Korean)

NAK(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3b, Customized Restoration and Duplication Support Service. https://www.archives.go.kr/next/newmanager/archivesRestoreData.do (December 9, 2024)

NAK(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4, Conservation. https://www.archives.go.kr/next/manager/preservation.do (January 3, 2025)

NLK(National Library of Korea), 2021, Digital Preservation Strategies for Audio-visual Materials in the New Media Era. National Library of Korea, 5, 1–14. (in Korean)

Oh, S.H. and Lee, M.K., 1998, An ASIC implementation of digital NTSC/PAL video encod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 35(6), 859–8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Ono, E., 2012, Operating principles and high-density technology of optical discs. Applied Physics, 81(7), 603–606. (in Japanese)

Peek, H.B., 2010, The emergence of the compact disc.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Communications Magazine, 48(1), 10–17.
crossref
So, J.E., Han, H.J. and Yang, D.M.,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in foreign electronic records: NARA, LAC, TNA, NAA, and SF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4), 125–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Wharton, G. and Mack, B., 2012, A case for digital conservation repositories. The Electronic Media Review, 1, 23–44.

Wheeler, J., 2002, Videotape preservation handbook, Association of Moving Image Archivists, 1–28.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91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Conserv. Sci.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5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