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시설
Table 1
Classification | Exhibition hall A | Exhibition hall B | ||
---|---|---|---|---|
Location | Daejeon | Asan | ||
Site | Urban | Rural | ||
B.C.Y* | 2008 | 2011 | ||
E.R.S** | 283.5 m2 | 182.5 m2 | ||
Opening time | Open by request | 09:00~18:00(Close: every tuesday) | ||
Building type | Reinforced concrete | Reinforced concrete | ||
B.I.M*** | Ceiling | gypsum board, plywood, pattern wood | Ceiling | gypsum board, painting |
Wall | gypsum board, fabric and pattern wood pannel, painting by lacquer | Wall | gypsum board, painting by lacquer | |
Floor | wood flooring | Floor | wood flooring | |
Air | Thermo-hygrostat(2 ea) | Central HVAC system | ||
conditioning | (almost not operated) | (operated intermittent air conditioning) | ||
Case type | Wall type airtight showcase | Wall type airtight showcase | ||
M.E.A**** | Earthenware, stone tool etc. | Paper etc. |
2.2.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Table 2
결과 및 고찰
3.1. 공간별 농도 분포 특성
Table 3
3.2. 계절별 농도 분포 특성
3.3. 온·습도 환경과의 상관관계
Table 4
Measure point | T(℃)* | T-R2 | RH(%)** | RH-R2 | |
---|---|---|---|---|---|
Exhibition hall A | Showcase | 20.9±4.6 | 0.87 | 52.6±12.4 | 0.77 |
(15.8~28.6) | (38.9~71.8) | ||||
Room | 20.6±4.8 | 0.86 | 51.6±13.2 | 0.81 | |
(15.1~28.6) | (38.9~70.1) | ||||
Exhibition hall B | Showcase | 18.5±3.8 | 0.45 | 61.2±2.3 | 0.43 |
(13.1~23.4) | (56.8~65.4) | ||||
Room | 19.8±2.6 | 0.89 | 54.4±2.7 | 0.46 | |
(16.0~23.6) | (51.2~60.2) |
결 론
1. 각 유물 전시관의 전시실과 진열장 내부는 외기 대비 약 5배에서 크게는 36배 이상의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A 전시관은 전시실이 진열장에 비해 7배 이상 오염도가 높았 고, B 전시관은 진열장이 전시실에 비해 6배 이상 높은 농 도수치를 나타냈다. 측정된 폼알데하이드 농도 수준을 환 경부의 주시험법으로 보정한 결과, 대부분 환경부의 전시 실 유지기준 및 문화재 보존환경 기준 모두를 상회하는 것 으로 쾌적한 관람 및 전시유물 보존을 위해 실내공기질 개 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2. 일반적으로 폼알데하이드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인자는 주요 발생원인 건축자재, 마감재, 전시재료이며 자재 내 방출 총량이 정해진 상태에서 보통 건축 완공 년도 가 짧은 신축건물에서 높게 나타나고 이후 시간이 경과될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번 연구대상의 경 우 완공연도에 따른 차이보다는 시설 내 폼알데하이드의 주요 발생원을 기초로 시설환경 및 냉난방, 환기율과 같은 공기조화설비 현황에 의해에 의해 방출량과 저감율이 높 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유물 전시관의 전시실과 진열장 내 계절별 폼알데하 이드 평균 농도를 살펴본 결과 여름>가을>봄>겨울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여름철인 8월에 폼알데하이드 방출 량이 높았으며 겨울철인 1월에 방출량이 낮은 것으로 전시 관 내 각 공간별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증가율을 살펴 본 결 과, 오염도가 높은 공간에서 방출량 증가율이 높은 것을 확 인하였다. 따라서 전시관 내 폼알데하이드 농도가 계절 변 화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방출량이 증가하므 로 환경 제어에 따른 방출량 증가 억제 및 환기로 인한 공 기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온 ․ 습도 환경에 따른 폼알데하이드 농도 분포를 살 펴본 결과, 전시관 내 온․습도에 따른 방출 농도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전시관 내 공간에서 폼알데하이 드 방출 농도는 습도에 비해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각 전시관의 공간별 폼알데하이드 방출 농도 증가율을 온․습도 환경 변화와 함께 살펴 본 결과, 전반적 으로 오염원의 종류와 양의 차이도 있지만 전시관 내 공기 조화설비 운용과 환경관리에 따른 방출량의 차이가 큰 것 을 알 수 있었다.
5. 유물 전시관 내 폼알데하이드 농도 저감을 위해서는 진열장 시공 및 내부 전시재료 사용 시 친환경 자재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해야 하나 실제 친환경 자재에서도 미량 의 농도가 방출되고 가공과정에서 접착제 등 폼알데하이 드 발생원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이 대다수이다. 따라서 시 공이후 유물을 전시하기 전에 정화된 외기를 실내에 충분 히 공급하는 플러시 아웃(Flush out)을 실시하여 오염도를 저감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폼알데하이드 방출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방출량 제 어를 위한 온․습도 환경 관리와 함께 오염된 공기질을 희석 하기 위해 폼알데하이드 방출 패턴과 양을 고려하여 적절 한 환기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시관 내에서 유 물을 보관 전시하는 진열장의 경우, 미량이라도 폼알데하 이드가 방출되면 공간의 밀폐도에 의해 오랜 기간 유지되 고 수분에 의해 유물 손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특히 습도환경 관리에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7. 이와 같은 자료는 특정 대상에 대한 분석결과로 모든 전시관에 해당되는 일반적인 사항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향후 유물 전시관의 전시환경 개선 및 관리 방안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