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조유산의 기후변화 영향 : 연구동향과 미래전망 |
김지영 |
|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Stone Heritage : Research Trends and Prospect |
Jiyoung Kim |
|
초 록 |
전지구적으로 일어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세기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문화유산 취약성 평가와 대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관련 연구방법이 정립되고 방대한 기후자료와 손상예측 자료가 축적되었 다. 우리나라는 관련된 정책연구가 다수 수행된 반면 여전히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해야 하는 당면 과제가 남아있다. 한반도 미래 기후자료를 반영한 국내 석조유산의 미래 손상양상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풍화 측면에서 복합적으 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문화유산 보존 분야의 산업과 행정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석조유산의 영향 연구는 지역과 자료주기의 다운스케일을 통해 정밀화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손상유형과 지역별로 미래 환경에 취약한 석조유산을 가려내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
중심어:
기후변화, 석조유산, 물리적 풍화, 화학적 풍화, 생물학적 풍화 |
ABSTRACT |
Studies on vulnerability of cultural heritage and adaptation strategy to worldwide climate change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nd this established a valid research methodology and piled up climate and deterioration dataset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Meanwhile, we still have tasks to acquire related scientific data despite referencing political researches in Korea. Applying Korean future climate to impact analysis, deterioration of Korean stone heritage is likely prospected to change into complexity in terms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weathering that may bring impacts on conservation business and administrative field of cultural heritage. Further studies will ensure detailed implic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stone heritage by means of down-scaling analysis of areas to local scale and dataset frequency to an hour. It is important to sort out capability and vulnerability of the stone heritage to future environment, and to make an adap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
Key Words:
Climate change, Stone heritage, Physical weathering, Chemical weathering, Biological weatheri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