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보존유적의 현황조사를 통한 활용성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and Improve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Preserved Remains in Jeollabuk Area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 결정은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결정하지만, 이전복원 후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접근성 및 활용적 측면에서는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보존조치된 29건의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조사와 실사를 통해 보존 및 활용방안,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이전복원 방법의 기술적 문제점과 접근성 및 활용성의 문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재료와 보호각의 공학적 연구 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보존유적을 도심지 유적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으로 다시 이전해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 중심의 보존 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하며, 지정 및 등록 문화재에 준하는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보존유적의 가치와 역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Trans Abstract
The decision on conservation measures for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mad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 but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reexamined in terms of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urvey and insp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29 preserved ruins in the Jeollabuk-do reg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echnical problems with the previous restoration method, problems with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the absence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is, new engineering studies on materials and protective angles used in restoration must be conducted, an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must be increased by relocating the variously distributed preserved remains to urban heritage exhibition halls or museums. There is. In addition, a country-center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a scientific and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equivalent to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preserved ruins and historical awareness.
1. 서 론
매장문화재 발굴조사는 학문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술발굴과 개발 사업 등으로 인한 정비 목적의 구제발굴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매년 수십에서 수백 건의 매장문화재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Shin, 2014). 이러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 및 출수되어지는 유형의 문화재와 건조물 등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질학적 가치가 큰 것을 매장 문화재라고 하며, 고고학적 발굴 대상으로는 유적 내에서 발굴되는 토기, 철기, 석기, 동기 등이 있고 집터 또는 고분 등의 유구와 이러한 범위를 포함하는 유적으로 구분하고 있다(Kim, 2021).
이 중에서 유구의 보존은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현지 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등의 형태로 보존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Wi, 2013), 이러한 유구 및 유적을 매장문 화재 보존조치유적이라고 총칭한다(Ryu, 2014). 이와 같이 발굴된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는 「발굴조사의 방법 절차 등에 관한 규정」에 제5장에 따라 보존조치 필요성을 판단하고(Wi et al., 2017), 평가단을 통해 매장문화재의 가치, 보존상태, 활용성, 보존조치로 침해되는 이익, 사후 관리 여건을 평가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후 문화재청장이 지시하도록 하고 있다(Kim, 2006).
이렇게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는 대부분 현지보존 또는 이전보존되어 문화유적공원 및 전시관의 개념으로 조성되거나 유구의 지역성과 공⋅사익 침해 정도에 따라 독립된 장소에 조성되어지고 있다(So, 2020). 그러나 매장문화재 보존조치를 위한 평가단의 평가 항목과는 다르게 고고학적 조사를 통한 유구의 성격과 특성, 지역성 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 채 조성된 사례도 있으며, 이는 복원 장소 및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보여진다. 또한 관리주체가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관리⋅감독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거나 후순위로 밀려 방치되고 있으며, 활용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무관심 속에 조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의 현실이다(Kim and Shin, 2014).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관리주체와 지역민, 학술적 목적의 연구자, 관람객들에게 마저 외면받고 있으며, 이는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의 목록화 부재 및 자료의 공유성 미흡, 보존조치 위치 확인과 접근성 부재, 시행과정 및 결과에 대한 자료 공유 전무와 같은 다양한 원인이 기반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화재 관련 행정 기관들의 인력 및 예산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이는 보존조치의 해제와 관련된 법령인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제14조에 따라 보존조치를 지시한 매장문화재가 그 가치를 상실하거나 가치 평가를 통하여 보존조치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존조치를 해제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국의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의 현황 및 보존상태를 연구한 사례가 드물어 능동적인 조치 보다는 문제가 발생한 후 일부에 대해서만 수동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추정은 2018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2차 매장문화재분과 위원회에서 논의된 「2018년도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 재평가 심의」가 이루어진 이후로 2022년까지 재평가가 이루어진 경우는 소수에 한해지고 있어 보존조치 평가가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 중 이전복원된 사례에 한해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현재의 보존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2018년도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 재평가 심의」의 목록에 나타나 있는 보존유적 중 현지 실사와 동일한 유적에 한해 비교해 보존 관리 실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조사를 통해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방안, 개선방안을 보다 현실적으로 제시하고, 재평가 시 보존조치된 매장문화재의 현황 목록 및 사진, 현재 상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전국의 보존 유적에 대한 제도, 법령, 관리, 조성, 활용 등 전반적인 보존방안에 대해 다시 재정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2. 보존조치유적 현황
2.1.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현황
문화재청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현황은 Table 1과 같이 나타났으며, 2017∼2021년까지 전국에서 8,726건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중에서 전라북도는 2017년 82건, 2018년 93건, 2019년 92건, 2020년 89건, 2021년 75건으로 총 431건의 발굴조사가 5년간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 되어 전국에서 8번째로 조사가 많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2.2.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 현황
전국의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 현황은 2016년 10월 기준 문화재청의 자료에 의하면 현지보존 355건, 이전보존 218건으로 총 573건으로 조사되어져 있다. 이 중에서 보존조치는 경상북도가 97건으로 가장 많으며, 대전과 세 종이 각각 6건과 4건으로 가장 적었다. 전라북도의 경우 31건으로 경북, 경기, 전남, 경남, 서울, 충남, 충북 다음으로 8번째로 많은 보존유적이 조성된 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이전복원은 14건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이와 같은 결과는 문화재청에서 공개한 자료에 한해 조사한 것으로 보존조치유적 재평가 결과 및 기타 문헌 또는 논문 등에 제시된 수치는 추가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3. 결과 및 고찰
3.1. 전라북도 보존조치유적 현황
문화재 발굴조사기관과 한국매장문화재협회 발간 보고서, 논문, 도록 등의 문헌조사와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유적 현황자료 및 발굴 보고서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직접 현장 조사를 진행하여 보존조치유적을 확인한 결과 전라북도 지역에서 이전보존의 형태로 이루어진 보존조치유적은 2023년 기준 총 29건으로 확인되었으며(Table 3), 국가 보안시설 또는 사유지, 개인 사업장 등에 보존조치된 사례와 지석묘 이전복원은 제외하였다.
지역에 따라 분류한 결과 군산시 4건, 전주시 10건, 완주군 3건, 김제시 1건, 익산시 4건, 정읍시 2건, 순창군 1건, 고창군 4건이 조사되었다. 군산시에 보존조치된 유적은 군산 아동리, 선제리, 축산리, 내흥동 유적 발굴조사를 통해 이전복원 되었으며, 군산대학교 박물관과 군산근대 역사박물관, 군산역 2층 전시관에 토광묘, 석관묘, 주거지 등의 유구를 복원해 놓았다(Figure 1).
전주시는 전라북도 지역 중 가장 많은 보존조치유적이 조사된 지역으로 마전 유적, 암멀 유적, 덕동 유적, 효자동 유적 등에서 발굴된 토광목관묘, 고분, 석곽묘, 적석목관묘 등이 보존조치 대상 유구로 조사되었다. 이전복원 장소는 전주시 덕진구 는들근린공원, 마전고분군 전시관, 국립전주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완산구 이바디 공원으로 서로 다른 발굴 지역에서 출토된 유구임에도 동일한 장소에 보존조치된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복원 장소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여러 유구를 동일한 장소에 설치한 사례로 판단된다(Figure 2).
완주시는 3건의 보존조치유적이 확인되었으며, 은하리 유적과 고속도로 건설 및 확장 과정에서 발굴된 유구를 상운리 유적공원과 봉동읍 둔산공원에 조성하였다. 이전복원된 유구는 분묘와 수혈유구, 석실분 등으로 상운리 유적공원에 6기가 조성되어져 있다(Figure 3a). 김제시는 벽골제 농경문화박물관에 제철유구, 구상유구, 수혈유구 등을 이전복원하여 보존조치하였다(Figure 3c). 군산시, 고창군과 동일한 4건의 보존조치유적이 조사된 익산시는 영등동 유적과 웅포리 유적, 원수리⋅월곡 유적 등에서 발굴된 유구를 보존조치하였다. 보존조치된 유구로는 주거지, 석관묘, 원형 주거지, 장방형 주거지 등이 익사시 시민공원과 입점리 고분전시관, 서동공원에 이전복원 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b, 3d).
정읍시에는 용산동 가마 유적과 청석리 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유구 2건이 보존조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읍시립박물관에 가마 유구와 수혈유구 등이 이전복원 되어져 있다. 또한 동일한 장소에 청석리 석실분이 야외 전시장에 이전복원되어져 있어 시립박물관을 보존조치유적의 설치 장소로 선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Figure 4a, 4b). 순창군은 내월 유적에서 발굴조사 된 석실분을 이전복원하여 장류박물관 야외에 보존조치 하였다(Figure 4c). 고창군은 4건의 보존저치 사례를 확인하였으며, 부곡리 유적, 동교 고분, 예지리 고분, 금평리 유적 등에서 발굴조사된 유구의 보존조치를 진행하였다. 보존조치는 이전복원으로 분묘, 석실분, 석곽 등을 고인돌박물관, 송현리 525번지 일원에 조성되어져 있는 것을 현지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Figure 4d).
3.2. 이전복원 방법의 기술적 문제점
발굴조사 후 보존조치가 결정된 유구의 이전복원은 시행처 또는 조사기관과 지자체 및 국가기관의 협의와 관리 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전복원 과정에서 전문가 회의를 통한 방향성 설정 등이 이루어진 후 보존조치가 마무리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러나 입찰 제도로 인한 낮은 복원 비용의 설정과 짧은 공사 기간, 비전문가로 이루어진 처리 작업 등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은 보존조치유적의 활용과 장기 보존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많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며, 이는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연구로 이전복원 및 복원 재료에 대한 표준화와 매뉴얼이 구체화되어지고 있는 결과와는 상반된 부분이어서 보존조치유적이 조성되기까지에 대한 전반적인 제도와 규정을 다시 한번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보존조치유적의 실사를 통해 다양하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보존조치유적의 이전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요소들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전북 지역에서 조사한 보존조치유적 중 습기로 인한 피해와 구조물에 의한 요소, 재료적 문제점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확인해보았다. 먼저 전주 마전 고분의 경우 밀폐형 보호각 내에 유구를 이전복원 한 사례와 고분군 내 야외에 밀폐형 보호덮개 형태로 이전복원한 보존유적이 조성되어있다. 밀폐형 보호각에 보존된 유적은 내부에 습기로 인해 물이 차오른 상태로 곰팡이와 이끼류 등이 발생하였으며, 토양 부분을 재현한 바닥 층에도 물에 젖어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5a, b). 물이 차오른 상태에서 오랜 기간 배수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곰팡이와 이끼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방치될 경우 곰팡이와 이끼류가 번져서 손상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습기로 인해 이전복원된 석재 틈으로 백화현상이 발생해 표면을 오염시키고 있는 상태이며, 이 또한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구조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재처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확인되었다(Figure 5c). 유구를 보호하고 있는 보호각 역시 벽면과 유리에 곰팡이와 초본류 등이 자생하고 있으며, 유리의 반사로 인해 내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관람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전시 효과 및 활용적인 측면은 현저히 감소되어 있는 상태이다. 고분군 내 야외에 밀폐형 보호덮개 형태로 이전복원한 유구 역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로 인해 강화유리에물이 맺혀있는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한 유구 손상이 관찰되고 강화유리의 난반사로 유구의 정확한 형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Figure 5d).
입점리 고분전시관 야외에 조성되어져 있는 보존조치 유적은 조성된 위치의 지리학적 특성상 금강 인근으로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많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추정된다(Figure 6a). 현장 조사 과정 중 안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Figure 6b),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기 때문에 유구를 보호하고 있는 강화유리 내외부에 물 맺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6c). 또한 보호각 내부의 공기 순환을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환기구를 통해 초본류 등이 자생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정되어져(Figure 6d) 본래의 목적인 공기 순환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유명무실한 상태로 보여진다. 외부에 노출되어져 조성된 보존유적으로 기온변화와 자외선 등에 의해 강화유리를 밀착시켜주는 기능을 하고 있는 고무 패킹 부분이 열화되어 본래의 기능을 하지못하고 있는 것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의 훼손으로 볼 수 있으며(Figure 6e), 강화유리의 난반사로 인해 유구의 형태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Figure 6f).
다양한 문제점들 중에서 온습도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와 물 맺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교 사례를 현지 조사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상운리 유적공원에 조성된 보존조치유적이 실제 환기시설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보여준 사례로 금속제 프레임을 이용해 제작된 밀폐형 보호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금속재 프레임의 덮개부분을 들어 올려 고임목을 받쳐놓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존조치유적 중 고임목 유무에 따라 덮개 강화유리에 발생한 물 맺힘 현상의 유무가 극명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는 공기 순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는 조사 결과로 판단된다(Figure 7a, b).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배수시설, 공조설비, 조성 구역의 외부 환경, 강화유리의 필요성 및 대체 재료에 대한 연구, 보호각의 방향 및 높이 등과 같은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마련한 후에 공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방형 보호각에 대한 적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개방형으로 조성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문제, 조류에 의한 피해, 눈과 비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전재로 개방형에 대한 검토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구조물에 의한 요소는 강화유리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설치하는 철제 프레임으로 인해 보존조치된 유구의 형태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방해 작용을 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보존조치가 결정된 유구를 이전복원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장소와 비용, 공사기간 등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가장 많이 적용된 보존조치 기술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원점에서 재검토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형 유구를 이전복원 한 경우 유구 크기에 맞춰 강화유리를 제작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강화유리의 중량을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철제 프레임이 설치되어지고 있으며,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익산 서동공원, 전주 이바디공원, 전주 는들근린공원 등에 조성된 대형 보존유적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Figure 8a∼d). 이러한 프레임으로 인해 유구의 정확한 형태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관람을 방해하는 요소임에는 분명하고 프레임으로 나타나는 그림자 역시 추가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는 전주 이바디공원 보존유적 중 소형의 유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구를 수직,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철제 프레임이 없어 보존조치된 유구의 형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관람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활용적인 측면에서도 반드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Figure 8e, f).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전시 및 활용 전문가 또는 실제 관람객 입장에서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동시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체 기술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강화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 또는 개방형으로의 전환, 지붕형 보호각의 설치 등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관람 효과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대안 사례로 성주 성산동 고분전시관, 창녕 송현동 고분전시관, 함안 말이산 고분전시관, 김해 대성동 고분전시관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9a∼d).
재료적 문제점에 대한 부분은 이전복원 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FRP와 황토 및 흙, 그 위에 도포되는 경화제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훼손을 의미한다. 보존조치가 결정된 유구의 이전복원을 위해 사용되는 FRP는 폴리에스터 수지에 유리섬유 등의 강화재를 혼합한 플라스틱으로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FRP 사용 후 플라스틱 재료의 질감을 최소화하고 발굴 현장의 재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에 황토 모르타르를 올리고 경화처리를 해주는 과정으로 이전복원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되는 재료가 보호각 또는 내외부 환경과 복합적으로 작용해 황토 모르타르가 도포된 부분이 갈라지거나 박리되어 하부의 FRP 층이 보이는 손상이 일어나기도 한다(Figure 10a, b, d). 또한 모르타르 부분이 박락되어 홀이 생성되는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박락된 부분으로 이끼류와 초본류가 자생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였다(Figure 10c). 유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고정해주는 보호각 및 석재 구조물 등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 박락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손상이 지속된다면 구조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Figure 9e, f).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 십년 동안 이어져 오고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체 재료를 제안하고 재료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합적 손상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과 처리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성이 간편한 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개발 및 연구는 보존유적의 이전복원에 대한 경제성과 안정성, 기능성, 신뢰성, 활용성 등의 복합적 문제점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최적화 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3. 접근성 및 활용성의 재고
보존조치가 결정된 매장문화재는 역사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전시, 교육, 연구, 체험 등으로 활용하여 그 가치를 증대시키고 많은 사람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기 위해 특정한 장소에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조성된 보존유적은 첫 번째로 우수한 접근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자와 관람객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해야하며, 접근성을 기반으로 전시 및 교육, 체험 등의 활용 단계로 이어져 나갈 수 있다.
전북지역에서 조사된 보존유적 중 전시관 및 박물관에 보존조치된 경우와 공원 형태로 이루어진 보존유적의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공원 형태의 보존유적 중 완주 상운리 유적공원과 익산 시민공원의 경우 접근성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완주 상운리 유적공원은 새만금 포항 고속도로 익산-장수 구간에 위치한 완주 톨게이트 옆에 조성되어져 있어 접근성이 가장 낮은 보존유적으로 판단된다(Figure 11a). 또한 한국도로공사 완주영업소에 유적공원의 출입구가 연결되어 있어 영업소에 주차를 해야 유적공원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로 고속도로 진출입로의 특성상 차량을 이동하는데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은 회차 구간으로 돌아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가장 큰 문제점은 안내 표시 및 설치된 안내판 등이 존재하지 않고, 도로 방향에서 유적공원을 보았을 때 나무숲에 가려져 유적공원의 존재 유무조차 모르고 지나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조성 되어져 있다(Figure 11b).
익산 시민공원에 조성된 보존유적은 공원 내에 스케이트 트랙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관람하기 위해서는 트랙을 지나쳐야해 접근성이 낮은 장소로 보여진다. 또한 공원 내에서도 트랙이 위치한 장소는 숲의 형태로 둘러 싸여져 있어 접근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스케이트를 타고 있을 경우 안전성이 낮아 바로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Figure 11e, f). 이외에 접근성이 낮은 보존유적으로는 고창 송현리 525 일원 국도 인근에 조성된 동교 고분으로 국도 바로 옆 농지에 조성되어져 있다. 이 유적 역시 도로 방면에서는 나무숲으로 가려져 있어 보존유적을 확인할 수 없으며, 농지 방면으로 내려와 접근해야 하지만 안내판이 없어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고분 위치의 지대가 높지 않고 진입로가 정비되어 있지 않아 접근성이 매우 낮은 보존유적으로 구분하게 되었다(Figure 11c, 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존조치 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유구의 역사성 및 지역성에 대한 부분을 접근성과 활용성 측면에서의 복합적인 논의 후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과 전시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과정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무리 역사성이 높고 지역에서의 보존성을 우선 해야하는 점은 분명하지만 보존조치 후 접근성이 떨어져 관람객과 연구자들이 찾지 않는 유적으로 방치되는 것이 현실이라면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보존유적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사성과 시대성, 지역성을 공유할 수 있는 복합 유적 공원 또는 유적 박물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서울 공평동 도시유적전시관과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경기도 판교박물관 등이 있으며, 도심의 중심부 또는 복합문화공간 내 야외 전시장, 전문박물관 내부 보존유구 조성을 한 사례로 접근성과 활용성 면에서 우수한 경우이다(Figure 12a∼c). 또한 보존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뿐 아닌 해설사, 전시 기획자, 콘텐츠 개발자 등 보존유적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별 전문 인력의 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활용적 요소들이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보존조치된 유적은 현재와 동일한 상태에서 보존관리될 것이며, 보존유적으로서의 가치가 재대로 발휘될 수 없어 그 의미가 점점 더 퇴색될 것이다.
3.4.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의 부재
보존조치가 결정된 유적에 대한 승인은 문화재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별 보존유적의 관리감독은 각각의 지자체 또는 개인이 주체가 되어 운영되고 있다. 유적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에서는 자체적으로 보존관리 전문 인력 및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이를 기반으로 전시, 교육,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접근성이 낮은 장소에 보존조치된 경우 관리주체가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보존관리를 위한 자체 인력의 부재, 유적 주변 경관 및 시설 관리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보존관리 체계를 점검해 보고자 2018년에 이루어진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 재평가 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북지역 보존유적을 비교해보았다.
보존조치유적 재평가 심의 결과 중 전북지역을 대상으로 이전복원 사례만 확인하였으며, 보존조치 결과가 제시된 유적 중 익산 서동공원과 완주 상운리 유적공원 총 2건의 결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먼저 익산 서동공원에 위치한 보존유적은 관리주체가 익산시로 명확하게 명시되어져 있으며, 안내판 및 강화유리를 설치하여 교육관광 자료로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재평가 결과 평가점수 87.9점으로 현 상태로 보존유지 하도록 검토 의견이 제시되어져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 조사를 진행한 결과 공원 전체의 안내 지도에 보존유적에 대한 표기는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고, 보존유적을 찾아갈 수 있는 안내판 역시 찾아볼 수 없었다(Figure 13a). 단지 보존 조치된 유구 보호각 앞에 유구를 설명하는 안내판만 설치되어 있어 보존유적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낮았으며, 관람 시 강화유리의 난반사와 철제 프레임과 프레임의 그림자로 인해 관람에 방해가 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13b). 또한 이전복원 시 토양 층을 재현하기 위해 도포한 황토 모르타르가 기온변화와 습기 등으로 인해 변색되어 박리 현상을 보여주는 부분까지 관촬되어 보존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관람객들에게 불편함과 잘못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된다(Figure 13c).
이렇게 비교한 결과가 재평가 결과와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약 5년 전에 이루어진 평가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동안 전혀 보존관리 및 재평가 결과에 대한 시행 조치 등이 관리주체인 익산시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보존조치 결정 후 장소 섭외 시 접근성 및 활용성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논의되지 않고 이전복원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라고 보여지면, 이전복원 후에는 인력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2018년 재평가 당시에는 보존 상태가 우수했었더라도 약 5년 이후의 상태가 현재와 같다면 평가 주기를 줄여서라도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될 것이며, 평가 시 문화재 위원 뿐 아닌 전시, 보존, 콘텐츠 활용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소위원회의 구성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완주 상운리 유적공원에 조성된 보존유적은 관리주체가 완주군으로 명확하게 명시되어져 있으며, 안내판을 설치하여 교육관광 자료로 활용하도록 되어있다. 재평가 결과 평가점수 87.3점으로 현 상태로 보존유지 하도록 검토 의견이 제시되어져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속도로 진출입로 인근에 조성되어진 유적공원은 전북지역 보존유적 중 가장 접근성이 낮은 위치에 있어 보존조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부터 활용적인 측면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Figure 14a). 또한 유적공원을 찾아가려고 영업소 주차장에 주차한 후 안내판이 부족해 입구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입구에 들어가서여 간판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14b). 공원에 들어간 후 보존 조치된 유구를 확인하면 유구를 보호하는 보호각에는 물맺힘 현상이 발생하고 강화유리의 이물질과 난반사로 인해 내부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내부에서는 잡풀과 초본류, 곰팡이, 이끼류 등이 자생하여 유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며, 이전복원 시 사용된 재료의 노화로 박리, 박락, 탈락되는 현상들까지 관찰되어 재 보존처리가 시급한 상태이다(Figure 14c). 이러한 문제점들은 명확한 관리주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존조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문화재 위원 뿐만 아닌 보존과학, 안전관리, 건축공학, 전시 및 교육 전문가, 콘텐츠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관리주체인 문화재청과 지자체의 담당자들이 의견을 제시해 최적의 보존조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인력구성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법과 제도의 개선을 통해 지정문화재 또는 등록문화재와 같이 보존유적 역시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예산 및 인력 지원 등을 통해 각각의 지자체에서 투명하고 책임감있게 유적을 관리하여 지역민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문화자원을 소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분포하고 있는 매장문화재 보존조치유적의 현황과 현재 보존 상태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의 보존조치유적에 대한 관리 및 활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존조치 결정 시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의견 수렴 부재, 관리주체의 무관심과 제도적 장치 개선 미흡, 낮은 접근성 및 홍보 효과 미흡, 예산 및 전문인력 양성 부족, 유지보수 및 관리 매뉴얼 부재 등 다양한 문제점에 노출되어져 있어 원점에서의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보존조치유적의 관리적 측면 과 활용적 측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전복원 방법 및 기술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보존조치가 결정된 후 이전복원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복원방법과 재료, 보호각의 설치는 수 십년 동안 현재와 유사한 방법과 재료, 구조물들이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이전복원 후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장기간 보존성에 대한 취약성 등이 확인되는 현시점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보호각 구조물의 공학적 시공과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및 모르타르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호각 및 이전복원된 유구의 폐기가 아닌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재처리 기술에도 적극 지원하여 보존유구의 가치를 되살릴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도 제시해본다. 이를 기반으로 단순한 보존조치를 위한 이전복원이 아닌 활용성과 접근성, 보존성이 공존할 수 있는 이전복원 기술의 적용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둘째, 보존유적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국의 보존 유적 현황과 상태점검 등 전수조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현재 보존유적을 점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등급분류를 통해 접근성과 활용성이 낮은 보존유적부터 다시 이전복원하여 보존조치된 유구를 정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보존유적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보존유적 전문 박물관 및 복합 유적 전시관, 유적 테마파크 등을 조성해 접근성을 향상시켜 주어야 하며,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시, 교육, 홍보, 콘텐츠, 보존 등의 전문 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연구자와 관람객과 외국인 등이 손쉽게 찾아와서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우리나라 역사를 알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도와줄 것이며, 이를 통해 보존유적의 가치와 역사 인식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국가 중심의 보존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보존유적의 관리주체는 명시되고 있으나 보존조치의 결정은 문화재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리주체는 지자체, 개인, 사업자 등에 전가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일원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보존조치 결정은 문화재 위원들에 의해 결정되고 있어 고고학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부분 이외에는 보존성, 활용성, 접근성, 안정성 등에서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존유적의 가치를 지정 또는 등록 문화재 수준으로의 상향이 필요하며, 법적⋅제도적 장치의 개선을 통해 명문화해야 할 것이다. 역사적, 학문적, 예술적 가치가 높아 보존조치를 결정 한 후 보존, 관리 측면에서는 그에 합당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에서 관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적합한 예산을 확보해 보존조치 결정부터 부지확보, 이전복원 및 재처리, 과학적 보존, 안전관리, 보호각 설치, 전시, 교육, 활용, 연구, 홍보 등에 필요한 전문 인력들이 보존유적을 역사적 가치에 맞게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제언을 바탕으로 보존유적 정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시스템 정비가 이루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자와 관람객, 큐레이터 등이 직접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과 다양한 콘텐츠와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가치와 역사 인식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며 본 논문이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3년도 한서대학교 교내 연구 지원 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