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2.2.1.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
2.2.2. 납동위원소비 분석
연구결과
3.1.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
Table 1
Sample | Cu (%) | Sn (%) | Pb (%) | Ag (mg/kg) | As (mg/kg) | Co (mg/kg) | Fe (mg/kg) | Ni (mg/kg) | Sb (mg/kg) | Zn (mg/kg) |
---|---|---|---|---|---|---|---|---|---|---|
Janggoksa Temple | 68.8 | 10.4 | 17.1 | 422 | 3129 | 49.9 | 983 | 356 | 774 | 208 |
Table 2
3.2. 납동위원소비 분석
Table 3
Sample | Lead isotope ratio | ||||
---|---|---|---|---|---|
206Pb/204Pb | 207Pb/204Pb | 208Pb/204Pb | 207Pb/206Pb | 208Pb/206Pb | |
Janggoksa Temple | 18.355 | 15.713 | 38.910 | 0.8560 | 2.1195 |
고 찰
Table 4
Sample | Cu (%) | Sn (%) | Pb (%) | Ag (mg/kg) | Mn (mg/kg) | Co (mg/kg) | Fe (mg/kg) | Ni (mg/kg) | Sb (mg/kg) | Zn (mg/kg) |
---|---|---|---|---|---|---|---|---|---|---|
Goseongsa Temple | 83.08 | 14.01 | 2.70 | 0.01 | - | - | 0.02 | 0.05 | - | 0.08 |
Table 5
Sample | Lead isotope ratio | ||||
---|---|---|---|---|---|
206Pb/204Pb | 207Pb/204Pb | 208Pb/204Pb | 207Pb/206Pb | 208Pb/206Pb | |
Goseongsa Temple | 18.487 | 15.698 | 38.619 | 0.8491 | 2.087 |
결 론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 분석결과 Cu-Sn-Pb 삼원합금으로, 주조 후 기타 가공공정 없이 서냉하여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납 함량비가 17.1%로 선행연구된 중․대형불상 합금비 및 납 함량비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작 시 쇳물의 용융점을 낮 추어 주조를 용이하게 하고, 매끈한 표면과 문양 표현의 완 성도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납을 다량 첨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사시기에 제작된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제작 기법 분석결과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동일하게 주조 후 서냉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나, 성분분석결과 구리 (Cu) 83.08%, 주석(Sn) 14.01%, 납(Pb) 2.70%의 삼원합금 으로 납 함량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불상의 크기 및 조성 시기 차이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제작 당시 제작자의 의도 또는 원료 수급 상황에 따라 납의 함량 을 높이는 대신 천의자락 표현에 있어 분리주조기법을 선 택적으로 적용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을 가능성을 제 시할 수 있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를 이용한 장곡사 금동약 사여래좌상의 납 원료산지 분석결과 불상이 봉안된 장곡사 가 위치한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영역(Zone 3)에 도시되었다. 고성사 청동보살 좌상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또한 동일 영역에 도시되었 으며, 결과적으로 두 불좌상 모두 제작 시 사찰과 동일 영 역에 해당하는 인근 방연석 광산 중 원료 수급이 용이한 곳 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유추된다. 그러나 해당 분석결과만으로 납 원료산지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 려우므로 유사시기 제작된 불상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를 축적하여 비교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와 같이 고려 후기 제작된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제 작기법 및 납 원료산지 연구를 통해 불상 제작에 적용된 주 조기술 및 문양 표현기법의 변화를 엿볼 수 있으며, 불상 제작 시 불상의 크기와 형태적 요소 및 원료 수급 상황에 따라 합금비 및 주조기술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향후 고려시대 청동 및 금동제 불 상의 제작기술체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본 연구 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시기별 불상의 양 식적 특성 및 제작기법과 함께 과학적 분석을 통한 재료학 적 특성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