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 Conserv. Sci > Volume 41(1); 2025 > Article
미국 뉴올리언스의 역사지구 흰개미 방제 사례와 시사점

초 록

흰개미는 우리나라 목조문화유산의 주요 손상 원인 중 하나이며 입지와 구조 등을 감안할 때 개별 건물이 아닌 공간 차원에서의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 뉴올리언스의 프렌치 쿼터와 잭슨 배럭 역사지구에서 실시된 공간적 흰개미 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적이 1 km2가 넘는 역사지구에서도 공간적 흰개미 방제의 적용이 가능하며, 주변 흰개미 군체의 재침입을 막고 낮은 흰개미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방제가 필요했다. 또한 넓은 면적에서 효과적인 흰개미 방제를 위해서는 단일 시행 주체가 주도적으로 방제 계획 수립과 실시를 담당해야 하며, 기술적으로는 지중 매립형 고 내구성 흰개미 군체제거제나 지상형 군체제거제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Termites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damage to Korea's wooden cultural heritage. To effectively prevent termite damage, areawide termite management is necessary. This paper attempt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reawide termite management to Korean cultural heritage by analyzing examples of areawide termite management in the French Quarter and Jackson Barracks historic district in New Orleans, Louisiana, USA. Areawide termite management can be applied in historic districts with an area of over 1 km2, and continuous control is required to prevent damage from re-invasion of termite colonies from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for effective termite control over a large area, a single implementing entity should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control plan. Durable in-ground termite bait and above-ground termite bait are optimal for colony elimination.

1. 서 론

흰개미는 바퀴목(Blattodea)에 속하는 사회성 곤충의 일종으로, 식물성 재료를 영양원으로 사용한다. 다른 곤충들과 구별되는 흰개미의 두 가지 특징, 즉 사회성 곤충이라는 점과 식물성 재료를 먹이로 한다는 점으로 인해 흰개미는 자연 생태계의 분해자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인간에게는 목조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을 손상시키는 해충이기도 하다(Brune, 2014).
흰개미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0종 이상 서식하며(Krishuna et al., 2013) 이 중에서 약 80여 종이 해충으로 여겨진다. 흰개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400억 달러(약 58조 원)에 달하며 특히 지중흰개미(subterranean termite)로 인한 피해가 전체의 약 80%에 달한다(Rust and Su, 2012).
전 세계적으로 흰개미 피해는 기후변화와 국제적인 교역을 통한 침입성 흰개미의 유입, 교통망 발달과 도시화 등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Duquesne and Fournier, 2024). 국내에서는 최근 100여 년 간 기온 증가로 인해 흰개미의 활동 일수와 먹이섭식량이 증가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Kim et al., 2023), 이미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흰개미의 서식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Kim and Kim, 2024). 또한 다수의 외래흰개미가 검역 과정에서 검출되고 있으며(Kim and Kim, 2024) 새로운 흰개미 종들이 발견되고 있다(Lee et al., 2015; Shim et al., 2021; Lee et al., 2024).
흰개미는 경제적 손실을 입힐 뿐 아니라 역사적 가치가 높은 목조문화유산에도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일본(Takahashi and Yoshimura, 2002)과 중국(Zhang et al., 2022), 대만(Li et al., 2011), 인도네시아(Kuswanto et al., 2015), 스페인(Lorenzo et al., 2018), 미국(Su, 2024) 등에서 목조건축유산의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흰개미로 인한 목조문화유산의 흰개미 피해가 다수 확인되었다(Kim and Chung, 2022a).
목조문화유산은 그 자체로 귀중한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거주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목조문화유산의 흰개미 피해를 예방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원형보존 뿐 아니라 건물의 사용 연한을 늘리고 피해가 발생한 이후 복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목조건축물의 구조나 양식, 입지, 흰개미 피해 부위의 관찰이 어려운 특성 등으로 인해 흰개미 피해를 알기 어렵거나 적용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이 제한되기도 한다(Kim and Chung, 2022b). 또한 역사지구 내에 다수의 목조건축물이 밀집한 경우에는 개별 건물의 진단과 방제에 비해 그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Lorenzo et al., 2018).
국내에도 민속마을, 읍성, 궁궐, 대규모 사찰과 서원 등 목조건축유산들이 밀집해 있는 곳들이 다수 있지만 아직까지 흰개미 방제는 개별 건물 위주로 수행되고 있다. 향후 지구(area) 단위 목조유산들의 흰개미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공간적 흰개미 관리(Areawide management)가 필요하며(Kim and Chung, 2022b) 다양한 국외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번 논문에서는 미국 뉴올리언스의 역사지구 흰개미 관리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뉴올리언스의 문화유산 지구 단위 흰개미 방제

2.1. 뉴올리언스의 형성과 대만흰개미 유입

뉴올리언스는 미국 남동부 루이지애나 주에 소재한 항구 도시이다.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길고 큰 강인 미시시피 강의 하류에 위치하며 멕시코만 연안에 있다(Figure 1). 미국 내륙의 수운과 대서양의 해운이 둘 다 접하는 지리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무역항으로 크게 발달한 곳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원래 17세기까지 여러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으며 1682년 프랑스의 탐험가들이 오대호에서 미시시피강으로 배를 타고 내려오며 미시시피 강 유역을 프랑스령으로 삼았다. 1718년 프랑스의 미시시피 회사에 의해 도시가 설립되었으며 도시의 이름 또한 프랑스의 오를레앙을 따 ‘새로운 오를레앙(New Orleans)’으로 명명되었다. 1768년 스페인이 잠시 이 지역을 차지하였으나 1800년 프랑스가 다시 차지하였으며 이후 1803년 루이지애나 주가 미국에 편입되며 뉴올리언스도 미국령이 되었다. 1812년 루이지애나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이후 미시시피강 무역의 중심으로 남북 전쟁 당시 남부군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이기도 하였다(Kendall, 1922). 현재까지도 미국의 주요 항구 도시 중 하나이며 루이지애나 주의 최대 도시이기도 하다.
뉴올리언스는 북위 29° 57′ 3.8340″, 서경 90° 4′ 17.5188″에 위치하며 기후는 해양성 기후로 온난 다습한 편이다. 겨울철(12월∼2월) 평균 기온이 12.4∼14.4℃로 따뜻한 편이며 월간 강수량도 94∼194 mm로 편차가 크지 않은 편이다(Table 1). 이와 같은 뉴올리언스의 입지와 지리적 특성은 흰개미의 유입과 피해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 지역에는 원래 Reticulitermes 속 흰개미들이 주로 서식하였다. 1940년대 세계 2차 대전 전후로 미국에 대만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가 유입되었으며 1967년 뉴올리언스에서도 이 종이 발견되었다(Spink, 1967). 대만흰개미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침입성 외래생물종(Invasive species) 중 하나로(Heringer et al., 2024) 이후 대만흰개미가 확산됨에 따라 역사적 건축물과 민가, 가로수 등에서 피해가 급증하였다.
뉴올리언스에는 많은 목조문화유산이 남아 있으며 다수의 흰개미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중 역사지구에 다수의 목조건축물이 밀집해 있으며, 현재 뉴올리언스 모기흰개미 설치류 관리국(City of New Orleans Mosquito, Termite and Rodent Control Board, 이하 NOMTCB)에서 직접 흰개미를 방제하였던 프렌치 쿼터와 잭슨 배럭(Figure 2, 3)의 두 사례를 살펴보았다.

2.2. 프렌치 쿼터 역사 지구(French quarter district)의 흰개미 방제

2.2.1. 프렌치 쿼터 역사 지구

뉴올리언스는 미국 남부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와 문화의 도시이며, 프랑스 양식의 문화와 건축물들이 다수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곳이 바로 프렌치 쿼터(French quarter)이다. 이 지구는 1788년과 1794년 발생한 대화재 이후 재건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스페인과 프랑스 등이 결합된 독특한 건축 문화를 보여준다. 이 지구 내에는 Madame Jonh's Legacy, The Cabildo 등 미국 국가 사적지(The United States National Historic Landmark)로 지정된 건물들이 있으며 이 지구 또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사적지(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지정되어 있다.
프렌치 쿼터의 면적은 1.13 km2 이며 이곳의 인구는 2010년 기준 3,888명이다(Greater New Orleans Community Data Center, 2012). 뉴올리언스에서 최초로 대만흰개미가 발견된 곳이 이 지구와 멀지 않은 미시시피강 유역이며(Spink, 1967) 역사 지구 내부에 다수의 목조건축물이 있어 대만흰개미의 피해가 점차 확산되었다(Figure 4). 이에 지구 내 대만흰개미의 전반적인 개체수를 줄이고 지역 주민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연방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오퍼레이션 풀 스탑(Operation Full Stop Program, 이하 OP)이라 불리는 대규모의 흰개미 방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2.2.2. 대규모 흰개미 방제 프로젝트(Operation Full Stop Program) 실시(1998∼2012)

이 프로젝트는 NOMTCB와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여러 대학들(Louisiana State University Agricultural Center, University of Hawaii, University of Georgia, University of Florida and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여러 해충방제업체들이 협동하여 수행하였다. 기간은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약 15년에 걸쳐 장기간 수행되었으며, 수백만 달러의 예산이 사용된 대규모 흰개미 방제 프로젝트이다(Schleifstein, 2013).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지구 내 대만흰개미 피해를 장기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서식 중인 흰개미들의 개체수를 줄이는 것 뿐 아니라 지역 해충방제업자(Pest Management Professionals, 이하 PMPs)들을 교육시키고 주민들의 흰개미와 관련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Figure 5).
흰개미의 방제는 프렌치 쿼터 지구를 5곳(Area 1∼5)으로 나누어 연차별로 실시하였다. Area 1은 1998년, 2는 2002년, 3과 4는 2003∼2004년, 5는 2006∼2007년 실시되었다(Figure 6). 방제 방법은 지중흰개미 방제에 효과적인 군체제거제, 토양처리가 실시되었다. 지금처럼 흰개미 군체제거제가 대중화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군체제거와 토양처리를 각 가정이 선택하도록 하였다. 방제 건수는 약 1,561건이며 이 중 군체제거제가 1131건, 토양처리제가 430건 사용되었다(Guillot et al., 2010).
흰개미 방제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해 2가지 정량적 지표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지표로 설치된 지중 스테이션 중 모니터링 과정에서 흰개미가 발견되는 스테이션의 비율(attack rate)을 확인하였다. 대만흰개미는 땅 속이나 목재 내부에 중앙 서식처(Central nest)를 형성한 다음 일개미들이 외부로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foraging). 또한 한 군체가 여러 소규모 위성 군체(satellite nests)를 형성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이 과정은 주로 지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흰개미들이 지중 스테이션에서 발견되는 양상을 통해 지구 내 흰개미의 활동 범위와 활성 정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흰개미 군체제거제와 토양처리제가 함께 사용된 초기(1998∼2005)에는 전반적인 흰개미 군체의 활성이 유지되다가 2006년 이후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흰개미 군체제거제만을 사용한 곳에서는 1999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ure 7).
두 번째 지표로는 흰개미 유시충의 군비 시 개체 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대만흰개미는 군체가 성숙해지면 번식을 위해 유시충(alates)을 수백에서 수천 쌍 만들어 낸다. 이들은 이 지역에서 주로 4∼7월까지 대규모로 군비(swarming)하는데, 주로 밤에 군비하며 유시충들은 주광성이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저녁 시간에 대만흰개미 유시충들이 군비하여 가로등 주변에서 날아다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4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프렌치 쿼터 지구 내 가로등에 점착형 트랩을 설치하여 여기에 채집되는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 변화를 파악하였다(Figure 8). 이 지표를 통해 유시충을 만들 수 있는 성숙한 흰개미 군체들의 활성 변화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흰개미 군체의 활성 변화와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포획되는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더 낮아지지 않고 유지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Figure 9). 지구별로 나누어 보면 이러한 양상이 더 확연히 나타난다. Area 2는 2002년 방제 프로그램이 시작된 후 2006년까지 포획되는 유시충의 개체수가 약 80% 가까이 감소하였으며 이후 증감을 반복하지만 기존보다 낮은 수준에서 개체 수가 유지되었다. Area 3에서도 2004년 본격적인 방제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Figure 9).
앞서 흰개미 스테이션의 탐지율(attack rate)이 2009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과 비교할 때 동일 기간 동안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는 일정 수준까지 감소하다 유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대만흰개미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지중에서의 먹이탐색은 일개미들이 직접 땅을 파면서 이동해야 하며 새로운 먹이를 찾으면 일정 시간 동안은 그 먹이를 섭식하기 때문에 매년 이동하는 경로가 한정적이다. 또한 군체제거제로 인해 기존의 군체가 제거되면 새로운 군체가 유입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반면에 유시충의 군비는 다른 곳에서 쉽 게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프렌치 쿼터 내에서의 대만흰개미 방제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대규모 역사 지구 전체의 흰개미 개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2.2.3. 프로젝트 이후 현재까지의 흰개미 관리(2012∼현재)

연방정부의 예산 지원 중단으로 인해 OP는 2012년 종료되었으며 이후 이 지역의 흰개미 관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지구 내 사유지 또는 사유 건물에서는 개인이 해충관리업체와 계약하여 흰개미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T 사는 OP 기간 동안 프렌치 쿼터 내에서 404곳과 계약하여 방제 처리를 수행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은 연방정부가 방제 비용을 보조하였다. OP 종료 후 4년이 경과한 다음 기존 고객 중 약 70%(404곳 중 284곳)가 자비로 계약을 유지하여 높은 재계약율을 보였다(Martin, 2016). 이 지역에서 주택의 흰개미 방제 비용은 매년 750∼1,000달러 정도이며 건물의 규모에 따라 더 많은 비용이 들 수도 있다(Schleifstein, 20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재계약율은 OP의 목적 중 하나인 지역 주민들에 대한 홍보와 인식 개선이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공공 건물과 공유지는 뉴올리언스 시 소속기관인 NOMTCB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프렌치 쿼터의 Madame John's Legacy House에서 지중형, 지상형 군체제거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대만흰개미의 방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Riegel et al., 2005) 이후 이 방식이 NOMTCB에서 수행중인 문화유산 흰개미 방제의 기본 전략이 되었다. 건물 주변에는 지중형 군체제거제를 설치하고 건물 내부에서도 흰개미 활성이 확인되면 지상형 군체제거제를 설치하였으며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흰개미 유입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독먹이를 교체한다(Figure 10). 특히 지중형 군체제거제는 지중에 설치 시 장기간 효력이 유지되어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를 사용하고 있다. 모니터링과 독먹이 교체가 연 1회만 필요하기 때문에 한정된 인력과 예산으로도 더 많은 수의 군체제거제를 현장에 사용할 수 있다.
지구 전체의 흰개미 개체수 관리를 위해 건물 주변 뿐 아니라 도로나 가로수, 미시시피강 연안, 철로 주변에도 지중형 군체제거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Figure 11). 또한 지구 내 가로등에 점착형 트랩을 설치하여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2.3. 잭슨 배럭 지구(Jackson Barracks Area)의 흰개미 방제

2.3.1. 잭슨 배럭

잭슨 배럭은 프렌치 쿼터에서 동쪽으로 약 5 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0.59 km2 이다. 프렌치 쿼터가 정방형에 가까운 것에 비해 잭슨 배럭은 남북으로 긴 형태이며 남쪽은 미시시피강에 면해 있다(Figure 2). 이곳은 군사적 목적으로 1834년 뉴올리언스 병영(New Orleans Barracks)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형성되었다. 이후에도 남북전쟁, 세계 1⋅2차 대전 등을 거치며 군사적 목적으로 계속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루이지애나 주 방위군(Louisiana National Guard) 본부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76년 국가사적지로 등재되었으며, 군사 및 무기박물관이 조성되어 있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연방정부로부터 약 3,500만 달러의 지원을 받아 복구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2.3.2. 흰개미 방제

이곳의 목조건축물 170채와 나무 10그루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흰개미 방제가 실시되었다. 방제 방법은 OP 종료 이후의 프렌치 쿼터와 동일하게 대상지 주변에 지중형 흰개미 군체제거제를 설치하고 연 1회 모니터링 하였다. 설치된 군체제거제의 수량은 총 2,340개이며 설치된 거리는 2,414.3 m(= 7,921 feet)으로 약 1 m 당 1기의 군체제거제를 설치하였다. 모니터링 시 흰개미가 발견되면 채집하여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Vargo and Henderson, 2000)에 따라 군체를 구별하였다. 이와 동시에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자 대만흰개미의 군비 시기인 4월에서 7월까지가 로등 주변에 15개의 점착형 트랩을 설치하고 포획된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인접한 프렌치 쿼터와 비교하였다.
1년차의 군체제거제 흰개미 발견률(attack rate)은 2.2%(2,340곳 중 52곳)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18개의 군체가 발견되었다. 이 중 4개는 Reticulitermes 속이며 14개는 대만흰개미였다. 9.5개의 베이트(총 중량 약 500 g)이 소모되어 대부분의 군체는 제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흰개미 유시충의 개체수 모니터링 결과 시간이 경과하며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 감소량은 점차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트랩 당 포획된 유시충의 수는 잭슨 배럭이 프렌치 쿼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Figure 12).
건물 주변의 흰개미 군체들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시충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추정된다. 첫 번째로, 잭슨 배럭 외부에 있었던 흰개미 군체의 유시충들이 군비를 통해 잭슨 배럭 내부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만흰개미 유시충의 군비 거리는 군비 시기의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매우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지역에서의 조사 결과 미시시피강의 남쪽 지역에서 강을 건너 북쪽 지역으로 약 900 m를 날아온 사례도 있었다(Messenger and Mullins, 2005). 두 번째로, 잭슨 배럭 내부의 흰개미 군체 중 제거되지 않은 군체가 있어 여기서 유시충이 만들어졌을 수 있다. 대만흰개미는 먹이, 수분 등 적절한 조건이 갖춰진다면 지면에 접촉하지 않은 군체(Aerial colony)를 형성할 수 있다(Faith, 2023). 흰개미 방제를 위해 설치된 군체제거제는 건물 주변 토양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in-ground bait). 따라서 살아있는 나무 등에서 생활하여 토양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흰개미 군체는 지중형 군체제거제로 제거가 어렵다.

3. 고찰 및 결론

뉴올리언스에서 수행된 지구 단위의 문화유산 흰개미 방제 사례는 우리나라 목조문화유산의 흰개미 관리 방법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준다. 프렌치 쿼터의 흰개미 방제는 문화유산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로 장기간 실시된 흰개미 관리 사례이며, 이후의 흰개미 방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위 사례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다수의 목조건축물이 밀집한 대규모 지구(면적 1.13 km2)에서도 전체적인 흰개미 개체수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구 단위 목조문화유산은 주로 민속마을, 읍성, 궁릉 등인데 이 중 가장 넓은 안동 하회마을(6.5 km2)을 제외하고는 모두 프렌치 쿼터보다 작다(경주 양동마을 0.97 km2, 기타 민속마을과 읍성은 0.8 km2 이하, 경복궁 0.45 km2, 창덕궁 0.54 km2). 또한 프렌치 쿼터 지구는 주민들이 4,000여 명에 달해 건물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도로나 박석 등으로 지면의 대부분이 포장되어 흰개미 방제가 어려운데 비해 우리나라 목조유산 지구는 건물 주변의 지면이 노출되어 있어 군체제거제 등 흰개미 방제 조치를 시행하기에 수월하다.
두 번째로 흰개미 방제는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이라는 점이다. 위에서 소개한 두 사례처럼 문화유산 지구 내에 있는 흰개미 군체들을 제거한다 해도 인접한 곳에 있던 다른 흰개미 군체가 먹이탐색이나 군비를 통해 유입된다. 프렌치 쿼터 북쪽의 루이 암스트롱 공원에서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된 연구 결과는 흰개미의 재침입(re-invasion)이 단기간에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루이 암스트롱 공원에서 2002∼2003년 대부분의 흰개미 군체를 제거하고 2004∼2009년 흰개미 활동을 모니터링 한 결과 약 5년이면 기존의 활성을 회복하는 것이 확인되었다(Su et al., 2016a). 기존에 흰개미가 활동하던 곳은 새로운 군체가 활용할 수 있는 이동 통로(gallery)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군체들이 유입되어 활동하기 쉽다(Su et al., 2016a). 프렌치 쿼터 내에서도 기존에 흰개미가 나타난 스테이션은 그렇지 않았던 스테이션보다 흰개미가 재발생할 확률이 훨씬 높았다(Martin, 2016).
세 번째로 단일 주체가 주도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흰개미 방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이다. OP를 시작한 초기에는 흰개미 군체제거제의 성능이나 효과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흰개미 군체제거제와 토양처리제를 함께 사용했다. 이로 인해 지구 내 흰개미 개체수를 줄이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각 개인이 해충방제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하고 여기에 보조금을 주는 방식이다 보니 과도한 수준의 방제를 실시하고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일 시행 주체(해당 지자체 등)가 주도적으로 여러 이해 관계자들(소유자, 관리자, 돌봄사업단, 보존처리업체 등)과 소통하며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수준의 예산을 반영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계획을 수정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효과적인 흰개미 방제 기술의 개발과 현장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지중형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와 실내형 군체제거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넓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흰개미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단위 면적당 방제 비용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가 개발되었으며 현장에서도 그 효과가 인정되어(Su et al., 2016b) 현재 뉴올리언스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NOMTCB에서는 약 12,000개의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를 건물 주변에 설치하고 연 1회 모니터링하는 등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설치된 총 거리가 약 40 km에 달한다(약 3 m 간격으로 설치). 현재 우리나라 문화유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흰개미 군체제거제는 3∼4월 현장에 시공된 후 연말까지 30∼45일 주기의 모니터링을 실시한 뒤 연말에 종료되며 제품의 수명은 1년 이내로 짧다. 따라서 처음 설치할 때의 군체제거제 재료비와 설치비용, 모니터링 시 필요한 재료비와 인건비가 필요하며 비용이 비싸다. 또한 제품의 수명이 짧아 차년도에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시공해야 한다. 반면에 현재 상용화된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는 수명이 5년 이상으로 길고(Eger et al., 2014) 모니터링 또한 연 1회만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군체제거제에 비해 사용되는 예산이 극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현재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는 상용화된 제품의 현장 적용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Figure 13) 이와 별개로 외부 R&D를 통해 국내 상황에 적합한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와 함께 지상형 군체제거제의 적용도 문화유산의 흰개미 피해 저감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뉴올리언스와 국내 문화유산 현장 모두 종은 다르지만 지중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주로 발생한다. 지중 흰개미의 생태적 특성 상 지중 매립형 군체제거제가 효과적이지만, 이미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건물의 경우는 매립형 군체제거제를 설치해도 흰개미들이 유입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목조건축물의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건물 내부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면 빠르게 군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실내에 적용할 수 있는 군체제거제가 필요하다.
실내형 군체제거제는 이미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곳에 처리하기 때문에 흰개미의 유입 빈도(attack rate)가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중국에서의 대규모 현장 시험 결과 약 55%에서 흰개미가 유입되었으며(13,320개소 중 7,378개소) 이는 지중형 군체제거제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비율이다(Su et al., 2012).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도 관련 현장 적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Figure 14) 외부 R&D를 통해 고 내구성 군체제거제와 실내형 군체제거제의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 뉴올리언스의 문화유산 지구 흰개미 방제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목조문화유산의 공간적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가유산청과 국립문화 유산연구원에서는 흰개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기후변화와 외래흰개미의 유입으로 인해 목조문화유산의 흰개미 피해는 더욱 증가할 위험이 있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대만흰개미가 최근 국내에서도 외국 수입 물품에서 발견되었으며(An et al., 2024) 겨울철 기온 증가로 이 종의 국내 서식 범위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Lee et al., 2021) 목조문화유산의 흰개미 피해는 한번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비가역적 손상이므로 예방적 보존관리 체계의 구축이 중요하며, 향후 공간적 흰개미 관리가 기본적인 원칙이 되어야 한다.

Notes

사 사

본 연구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에서 수행 중인 ‘문화유산 보존 재료와 기술 연구(NRICH-2505-A62F-1-1)’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1.
Location of New Orleans (Map source: Wikipedia).
JCS-2025-41-1-06f1.jpg
Figure 2.
Location of French Quarter and Jackson Barracks in New Orleans(Map source: Google earth).
JCS-2025-41-1-06f2.jpg
Figure 3.
Historical wooden buildings of French Quarter(left) and Jackson Barrack(right) in New Orleans.
JCS-2025-41-1-06f3.jpg
Figure 4.
Damage from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s in wooden buildings in the French Quarter.
JCS-2025-41-1-06f4.jpg
Figure 5.
Training and on-site promotional events held in the French Quarter during the Operation Full Stop period.
JCS-2025-41-1-06f5.jpg
Figure 6.
Termite control area in the French Quarter(Image source: Guillot et al., 2010).
JCS-2025-41-1-06f6.jpg
Figure 7.
Change of termite activity in French Quarter(Image source: Guillot et al., 2010; Martin, 2016).
JCS-2025-41-1-06f7.jpg
Figure 8.
Monitoring of termite alates in French Quarter.
JCS-2025-41-1-06f8.jpg
Figure 9.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s alates collected in the French Quarter(Image source: Guillot et al., 2010).
JCS-2025-41-1-06f9.jpg
Figure 10.
Installed above-ground termite bait in Louisiana State Museum.
JCS-2025-41-1-06f10.jpg
Figure 11.
Installed in-ground termite bait in the sidewalk and the roadside trees.
JCS-2025-41-1-06f11.jpg
Figure 12.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termite alates(left) and the number of termite alates caught per trap in the French Quarter and Jackson Barracks(right).
JCS-2025-41-1-06f12.jpg
Figure 13.
Field test of durable in-ground termite bait conduct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left) installed bait station contain wooden stakes and baits in ground. (right) termite fed baits.
JCS-2025-41-1-06f13.jpg
Figure 14.
Field test of above-ground termite bait conduct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left) installed above-ground bait on the lintel. (right) treated above-ground bait on the threshold.
JCS-2025-41-1-06f14.jpg
Table 1.
Monthly mean weather data in New Orleans from 1990 to 2020 (Source: National Weather Service by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Annual
Temperature (℃) 12.4 14.4 17.7 21.2 25.1 28.0 28.8 28.9 27.1 22.5 16.9 13.7 21.4
Relative humidity (%) 75.6 73.0 72.9 73.4 74.4 76.4 79.2 79.4 77.8 74.9 77.2 76.9 75.9
Rainfall (mm) 132 105 111 133 143 194 172 176 130 94 98 122 1,609

REFERENCES

An, J., Song, J., Jang, B., Kim, M., Cha, M. and Eum, S., 2024, Recent detection of an invasive termite species Coptotermes formosanus. PNI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5(3), 94–98.

Brune, A., 2014, Symbiotic digestion of lignocellulose in termite gut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 168–180.
crossref pmid pdf
Duquesne, E. and Fournier, D., 2024, Connectivity and climate change drive the global distribution of highly invasive termites. NeoBiota, 92, 281–314.
crossref pdf
Eger, J.E., Hamm, R.L., Demark, J.J., Chin-heady, E., Tolley, M.P., Benson, E.P., Zungoli, P.A., Smith, M.S. and Spomer, N.A., 2014, Durability of a novel durable bait for control of subterranean termites (Isoptera: Rhinotermitidae): Results of five-year field aging studies.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107(3), 1201–1205.
crossref pmid
Faith, O., 2023, Ch. 10: Inspection and monitoring. In: Su Nan-Yao, Lee Chow-Yang, editors. Biology and management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and related spe ci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UK), 188–216.

Greater New Orleans Community Data Center, 2024, French Quarter neighborhood. French Quarter neighborhood. https://web.archive.org/web/20120610054610/http://www.gnocdc.org/NeighborhoodData/1/FrenchQuarter/index.html (Aug 14, 2024)

Guillot, F.S., Morgan, A., Brown, K., Riegel, C. and Boykin, D., 2010, Area-Wide management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 (Isoptera: Rhinotermitidae), in the New Orleans French Quarter. Sociobiology, 55(2), 311–338.

Gustavo, H., Romina, D. F., Alok, B., Marion, C., Ana, N., Bernd, L., César, C., David, R., David, R., Desika, R., Elena, T., Kathrin, H., Melina, K., Natalia, I. K., José, R. P. A., Romina, D. D., Thomas, W. B., Yuya, W. and Franck, C., 2024, Economic costs of invasive non-native species in urban areas: An underexplored financial dra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917(2024), 170336.
crossref pmid
Kendall, J. S., 1922, History of New Orleans, Lewis Publishing Company, Chicago and New York, 1–74.

Kim, S. and Chung, Y., 2022a, An analysis of termite (R. speratus kyushuensis)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5(2), 102–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im, S. and Chung, Y., 2022b, A study on area-wide integrated termite management for the preservation of wooden built heritag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5(3), 60–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im, S. and Kim, J., 2024, Estimation of the damage risk range and activity period of termites (Reticulitermes speratus) in Korea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building sites. Forests, 15(4), 1–20.
crossref
Kim, S., Im, I. and Lee, S., 2023, A change of termite (Reticu litermes speratus) activity with temperature chage in Korea. Journal National Heritage, 8(1), 1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im, T. and Kim, S., 2024, Analysis of te invasive termites in plant quarantine and characteristics of drywood termites found in south Korea. Journal National Heritage, 9(1), 1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rishna, K., Grimaldi, D.A., Krishna, V. and Engel, M.S., 2013, Treatise on the Isoptera of the world,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1, 171.

Kuswanto, E., Ahmad, I. and Dungani, R., 2015, Threat of subterranean termites attack in the Asian countries and their control: A review. Asian Journal of Applied Science, 8, 227–239.
crossref
Lee, S., Jeong, S., Lee, H., Kang, Y., Lee, S., Jeong, N., Lee, J., Park, S., Kim, J., Han, I., Kim, H., Kim, J., Seo, M., Jo, C., Kim, S., Kwon, H., Lim, K., Su, N.Y. and Lee, W., 2024, Well-established populations of the western drywood termite, Incisitermes minor (Blattode a: Kalotermitidae),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7, 102264.
crossref
Lee, S., Tong, R.L., Kim, S., Im, I. and Su, N.Y., 2021, Potential pest status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 (Blattodea: Isoptera: Rhinotermitida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Florida Entomologist, 103, 431–437.
crossref
Lee, W., Choi, D., Ji, J., Kim, N., Han, J., Park, S., Lee, S., Seo, M., Hwang, W. and Forschler, B.T., 2015, A new record of Reticulitermes kanmonensis Takematsu, 1999 (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18, 351–359.
crossref
Li, H.F., Su, N.Y., Wen-Jer, W. and Err-Lieh, L., 2011, Termite pests and their control in Taiwan. Sociobiology, 57, 575–586.

Lorenzo, D., Touza, M., Benito, J., Troya, M., Galvan, J. and Roberston, L., 2018, Spanish termites stand ard UNE 56418: 2016 “Protocol of action in urban areas affected by subterranean termite attack”.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standard in a real case in the old city of Vigo, Spain. In: Proceedings IRG(The International Research Group on Wood Protection) 49 Scientific Conference on Wood Protection; Johannesburg, South Africa. 29 April – 3 May 2018; IRG/WP 18-10912

Martin, E. J., 2016, Results of operation full stop: Terminix service Co. Inc., control of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s (Coptotermes Formosanus) in the French Quarter of New Orleans. Master's Theses. Lousiana State University, Baton Louge(USA), 1–51.

Messenger, M. T. and Mullins, A. J., 2005, New flight distance recorded for Coptotermes formosauns (Isoptera: Rhinotermitidae). Florida Entomologist, 88(1), 99–100.
crossref
National Weather Service by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 https://web.archive.org/web/20210713174234/https://w2.weather.gov/climate/xmacis.php?wfo=lix (August 11, 2024)

Riegel, C., Gilberg, M., Freytag, E., Su, N. Y. and Bordes, E. S., 2005, Long-term protection of Madame John's Lecagy House from subterranean termites using hexaflumuron. Studies in Conservation, 50(4), 267–274.
crossref
Rust, M. K. and Su, N. Y., 2012, Managing social insects of urban importance.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7(1), 355–375.
crossref pmid
Schleifstein, M., 2013, French Quarter residents are on their own after federal Formosan termite treatment program end s, https://www.nola.com/news/environment/french-quarter-residents-are-on-their-own-after-federal-formosan-termite-treatment-program-ends/article_a378bc4d-2bb0-5a42-8327-0bead5f341d0.html (Aug 13, 2024)

Shim, J., Park, H., Ju, H. and Song, J., 2021, First record of the termite family Kalotermitidae (Blattodea: Termitoidae)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4(4), 1266–1269.
crossref
Spink, W. T., 1967,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in Louisiana. Circular Number, 89, 1–12.

Su, N.Y., 2024, Termite IPM in historic sites. Journal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15(1), 1–10.
crossref pdf
Su, N.Y., Guidry, E., Mullins, A. J. and Cottone, C., 2016a, Reinvasion dynamics of subterranean termites (Isoptera: Rhinotermitidae) following the elimination of all detectable colonies in a large area.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109(2), 809–814.
crossref pmid
Su, N.Y., Guidry, E. and Cottone, C., 2016b, Sustainable management of subterranean termite populations (Isoptera: Rhinotermitidae) in Armstrong Park, New Orleans, with durable baits.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109(3), 1326–1332.
crossref pmid
Su, N.Y., Lagnaoui, A., Wang, Q., Li, X. and Tan, S., 2012, A demonstration project of Stockholm POPs convention to replace Chlordane and Mirex With IPM for termite control in China. Journal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4(3), 1–8.
crossref
Takahashi, M. and Yoshimura, T., 2002, Recent development in the control of Japanese subterranean termites. Sociobiology, 40, 13–24.

Vargo, E.L. and Henderson, G., 2000, Identification of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 Molecular Ecology, 9, 1935–1938.
crossref pmid
Zhang, G., Gu, A., Zhang, D. and Shen, J., 2022, Risk assess ment and monitoring of termites in the forbidden city under global warming. Studies in Conservation, 67(sup1), 334–340.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90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Conserv. Sci.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5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