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사동 출토 제철슬래그의 금속학적 조사 연구 |
박성택, 최창옥 |
|
The Analysis of Slag Exacavated from Jisa area |
Sung-Taik Park, Chang-Ock Choi |
|
초 록 |
지사동 출토 슬래그에 대하여 화학적인 분석과 현미경 조직관찰에 의하여 금속학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인 분석은 ICP, XRD, SEM-EDS로 실행하였으며 슬래그 조직은 금속현미경 및 SEM으로 관찰하였다. 화학적 분석 결과, A 및 C 지구 슬래그의 전철량(Total Fe)은 로 고대 제철과정에서 발생했던 철분의 평균치에 해당하였다. 또한 CaO 성분은 로 많은 양은 아니지만 조재제로 Ca성분을 함유한 재료를 소량 사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지구에서는 Ti성분이 미량 검출되었으며 C지구에선 Ti 성분과 V 성분이 다량 검출되었다. XRD 분석 결과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 - 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같은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금속현미경 및 SEM에 의한 관찰에서도 위와 같은 조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지구의 로에서는 주로 철광석을 이용한 제련작업을 하였고 C지구의 제철로에서는 철광석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과 사철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이 병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
ABSTRACT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hemical analysis and metallographic observation.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ized by ICP, XRD and SEM-EDS and slag structure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and SEM. Total Fe amounts in A, C area of slag can be observed by chemical analysis results. It was average of acient times. CaO was . It's not plentiful but we think that was artificial. Ti was found in A area a little, and Ti, V were found in C area so much. The compounds, as if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were observed in the result XRD. These structures were also observed in microscope and SEM image. Therefore, The furnance of A area usually used an iron mine, An Iron furnance of C area considered it which refined using a raw iron mine and a raw iron san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