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 농서리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
|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Nongseori Site in Giheung, Korea |
Ran Hui Gim, Sun Myeong Lee, So Young Jang, Chan Hee Lee |
|
초 록 |
이 연구는 기흥 농서리 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 청동기 및 원삼국 시대의 토기를 대상으로 산출상태와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 결과, 신석기시대 토기편은 사질 태토와 다량의 활석 및 운모 비짐이 특징적이며, 청동기시대 토기편은 특별한 정선과정 없이 사질의 태토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삼국시대 토기 편은 정선된 태토를 이용하였으며, 각 시대별 토기편은 점이적으로 변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화학조성을 비교한 결과, 유적지 주변의 동일 기반암에서 풍화에 의해 생성된 원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신석기시 대 토기는 다량의 활석과 운모 등을 첨가하였고, 원삼국시대 토기편은 태토를 매우 정선하여 이용하는 등 제작기법에서 시대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이들 토기편의 소성온도는 신석기시대의 경우, 대부분 700~760℃, 청동기시대의 경우는 850~900℃ 그리고 원삼국시대는 900~1,050℃로 전체적으로 넓은 소성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시대별 토기의 특징은 시간적으로 단절된 특징을 보이지 않으며 제작기법 상의 변화양상이 나타난다. |
중심어: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토기, 재질특성, 소성온도 |
ABSTRACT |
This study was examined interpretation of mak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raw materials for the potteries from the Nongseori site in Giheung based on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The potte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age. The texture of Neolithic age potteries is sandy soil added a lot of temper such as talc and mica, and Bronze age potteries contain sandy materials which occur naturally include quartz, orthoclase, plagioclase and mica. On the other hand, Proto-three Kingdom Age potteries made of silty soil that sift out coarse minerals from the clay. But all pottery and soil samples in the study were very similar patterns with geochemical evolution trend. This result is sufficient evidence that all pottery samples were produced using the same raw materials from the host rocks around of the site area. The Neolithic age potteries had loose texture and fired probably about 700 to 760℃. The Bronze age potteries had experienced firing about 850 to 900℃. And Proto-three Kingdom Age potteries had compact textured and fired from 900 to 1,050℃. The making techniques of potteries are not represented discontinuation characteristics about the periodic time sequences, and are suggested that revealed a transitional change patterns for production techniques. |
Key Words:
Neolithic Age, Bronze Age, Proto-three Kingdom Age, Potteries, Material characteristics, Firing temperatur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