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출토 고려시대 칠사관모의 보존처리 및 재질분석 |
박혜진, 권영숙 |
|
Conservation Treatment and Material Analysis of Lacquered Head-wear Excavated in Ulsan Dated to Goryeo Dynasty |
Hae Jin Park, Young Suk Kwon |
|
초 록 |
울산시 북산동 출토 고려시대 칠사관모(漆紗冠帽)는 복식사적으로 상당히 귀한 유물로 고려시대 당시의 관모형태를 알 수 있어 역사적·문화적·사회적·예술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유물은 상대적으로 유물이 부족한 고려시대의 실증적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로 발굴 작업에 의한 출토품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온 유물의 보존처리를 통해 본래의 상태로 회복시키고 원형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존유물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고려시대 관모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었으며, 재질 및 구조분석을 통해 섬세한 사(紗)조직의 표면조직과 죽사(竹絲)로 제작된 바탕조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심어:
고려시대, 칠사, 관모, 보존처리, 분석 |
ABSTRACT |
Chil-sa head-wear excavated in Buksandong of Ulsan is precious relic with historical, cultural, social and artistic values because it shows head-wear shape at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with the invaluable worth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lso, this excavated head-wear provides the empirical information about Goryeo dynasty which has relatively insufficient remai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cover and maintain the original states of the artifacts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n to preserve the materials from rapid decomposition. As a result, the original shape of the head-wear from Goryeo dynasty can be conserved and through the material and structure analysis it is found out that the head-wear's surface structure is composed of silk(紗) and the ground structure is made by bamboo(竹絲). |
Key Words:
Goryeo dynasty, Chil-sa, Head-wear, Conservation treatment, Analysis |
|